본문 바로가기

세상톺아보기-칼럼

<아침을 열며>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2004-11-24 요즘 인터넷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블로그 가운데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한 누리꾼(네티즌)의 눈부신 재치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프로와 아마추어의 80가지 차이'라는 제목 아래 올라온 이 글은 한동안 67가지였던 차이점에 언제부턴가 13개를 추가한 것이다. '프로는 불을 피우고 아마추어는 불을 쬔다'는 첫 구절로 시작해 '프로는 (영락없이) 아마추어처럼 생겼지만 아마추어는 (마치) 프로처럼 행세한다'는 80장에서 끝나는 일종의 경구(警句)는 매 장마다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지혜가 담겼다.마무리 1%에서 판가름 80가지 중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프로는 아마추어에 비해 세기(細技)에 강한 특성을 지녔다. 세밀한 마무리 손질에서 프로와 아마추어가 갈린다. 흔히 1% .. 더보기
<아침을 열며> 일류정부로 가는길 2004-11-03 노무현 대통령의 입에서 '일류정부' '최고 수준' 같은 낱말을 들어보는 것은 오랜만인 듯하다. 경쟁을 연상하는 이런 단어는 참여정부와 낯가림을 하는 경향이 많아서다. 그래선지 노대통령도 "최고라는 표현이 거북할 수 있다"고 한자락을 깔았다. 당연히 경쟁제일주의, 승자독식주의적 관점이 아님을 부연했다. 노대통령이 '일류정부' 같은 용어를 동원하는 것은 주로 고위공직자들과의 모임이 있을 때다. 이번에도 지난 주말 열린 장.차관 정부혁신토론회가 열린 자리에서였다.공공서비스 만족 50점그쳐 어쨌든 "다른 나라 정부와 비교해서 과연 최고 수준이냐. 기업과 비교해서 우리 정부의 일하는 수준이 최고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느냐"는 대통령의 반문성 언술을 고깝게 받아들일 일은 아니다. '최고 수준의 .. 더보기
<아침을 열며> "나는 아직 미숙하다" 2004-10-13 지난주 '말 속의 말'은 단연 일본이 낳은 야구 천재 스즈키 이치로(鈴木一郞)의 촌철살인이 아닐까 싶다. "나는 아직 미숙한 사람이다." 그 한마디는 모순형용의 수사학을 빌리면 '평범한 비범'이었기에 말도 많은 경제난에다 짜증스런 갈등과 분열로 열패감에 젖어있는 한국인들의 폐부를 찌르고 남았다.日 이치로 '국민영예상' 사양 무려 84년 동안 난공불락이던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 리그의 한 시즌 최다 안타기록을 여봐란듯이 깨버린 이치로가 일본 정부의 '국민영예상' 제의를 두 번째 사양하면서 이처럼 겸손하다니. 미국 진출 첫해인 2001년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겸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된 직후 이미 한 차례 제의가 있었던 터라 웬만한 선수라면 "무한한 영광이다. 더욱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더보기
<아침을 열며...> 直指와 활자매체 성쇠 2004-09-01 중국이 왜곡하고 있는 것은 고구려 역사뿐만 아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자랑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702년 낙양(洛陽)에서 인쇄된 것이라고 우긴다.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것이지만 당나라에서 인쇄한 것을 들여왔다고 억지를 부린다.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도 1377년 고려 때 청주 흥덕사에서 만든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보다 40년 앞서 중국에서 제작된 '어시책'(御試策)이라고 주장한다.'다라니경'은 벌써 학계에서 공인되어 기네스북에 올라 있고 '직지' 또한 독일의 구텐베르크 금속활자본보다 반세기도 훨씬 더 앞선 것이라고 유네스코가 인정했음에도 중국은 원조(元祖)를 양보하기 싫다는 모양새다. '직지'는 구텐베르크의 '42행 .. 더보기
<아침을 열며...> 과거청산과 민생 함수관계 2004-07-28 스페인 영화 '까마귀 기르기'(원제 Cria Cuervos)는 프랑코 독재의 잔영을 그린 명작으로 꼽힌다. 이 영화는 한 부르주아 가정의 삶을 통해 프랑코 시대가 스페인 사회에 드리운 상흔을 오묘하게 교직해 냈다. 카를로스 사우라 감독이 1976년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을 만큼 주목도가 높았던 까닭도 여기에 있는 듯하다. 독재를 상징하는 아버지의 죄는 물론 이모의 위압적 태도까지 심판하려는 주인공 아나의 행동은 스페인의 새로운 세대가 프랑코를 죽이고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려는 '신원(伸寃)의 알레고리'라는 평판을 얻는다.요즘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 가운데 하나인 과거 청산과 역사바로세우기 작업을 보면서 이 영화를 떠올리게 된다. 다른 한편으론 지난날 리영희 선생의 마음을 .. 더보기
<아침을 열며...> 시스템보다 중요한 철학 2004-06-30 프로라고 자긍하는 이들에게 아마추어라는 비판은 때론 수치나 모욕으로 받아들여진다. 그것도 우군이 그랬다면 강도는 한결 높다.엊그제 열린우리당의 한 젊은 국회의원이 참여정부의 '아마추어 외교'를 도마 위에 올린 것은 더없이 통렬한 채찍이자 자성의 목소리이다. 김선일씨 납치 피살사건은 노무현 정부의 아킬레스건이 화살을 맞은 셈이다. 좁게는 교민보호의 문제점과 정보라인의 한계를 절감한 사건이지만, 외교.안보정책을 원점에서 되짚어볼 수 있는 호기이기도 하다. 한 젊은이의 안타까운 죽음이 외교.안보시스템을 두루 점검하는 계기가 된 것은 노대통령에겐 역설적인 행운인지도 모른다. 노대통령의 큰 취약점 중 하나가 외교.안보분야라는 사실은 취임 초기부터 제기돼온 터여서 새삼스러울 게 없다. 대통령 자.. 더보기
<아침을 열며...> 대통령의 성공 신드롬 2004-06-02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기간에 고집이 남다른 한 선배와 자신있는 내기를 걸었다. "두고 보십시오. 탄핵이 기각된 뒤에는 대통령이 아주 멋진 지도자는 아닐지라도 제법 괜찮게 환골탈태해서 돌아올 게 틀림없습니다. 나라 장래를 위해선 잘된 일인지도 모릅니다."노대통령에 대한 믿음이라곤 손톱만큼도 보여주지 않는 그 선배는 감옥 아닌 감옥생활을 했다고 대통령의 스타일이 바뀐다면 손가락에 장을 지지겠다고 극단 어법까지 썼다. 개과천선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며 막말까지 동원하는 선배에게 술 힘을 빌려 세상을 너무 각박하게 살지 말자는 어쭙잖은 충고를 했던 객기는 지우고 싶은 추억이 됐다. 내 장담은 이제 부질없는 일이 될 확률이 더 높아진 게 아닌가 싶다. 헌법재판소가 일부 유죄를 인정한 대목은 빼.. 더보기
<아침을 열며> 이젠 정부 차례다 2004-05-05 지난 몇달동안 우리는 국회와 정치권을 원없이 타매하고 지탄했다. 구태에 찌들대로 찌든 거대야당들이 이끄는 16대 국회가 '우선멈춤'을 모르고 과속하다 자기 목이 날아가는 광경을 목도했다. 위대한 국민의 분노는 물갈이를 넘어 판갈이로 징치했다. 낡은 정치를 청산하라는 국민의 긴급명령은 여느 때와 사뭇 다른 여야 대표 회담과 다짐을 이끌어내기에 이르렀다. 아직 만족할 만한 단계는 아니지만 사상 초유의 '여야 협약'이란 형식도 만들어냈다.그러는 사이에 우리는 국회보다 월등히 힘센 골리앗 같은 정부를 잠시나마 잊고 지내다시피 했다. 정부야말로 온 국민이 부엉이처럼 눈을 부릅뜨고 감시해야 할 1순위임에도 사실상 자율에만 맡겨 두었다. 행정수반인 대통령이 탄핵소추된 상태여서 얼마간의 동정심도 실.. 더보기
<아침을 열며...> 표절의 정치 2004-03-31 총선을 앞두고 며칠 사이에 펼쳐지고 있는 정치권의 '따라하기'를 보면 언젠가 곁눈질로 읽었던 인상적인 시구가 문득 떠오른다. "하늘을 표절한 땅/낮을 표절한 밤의 송사/우리는 긴긴 어둠을 서로의 살 속에 말아 넣는다./그것들은 저희끼리 얽혀 가다가/우리 온 정신의 성감에서 만난다/끈과 단추는 모두 풀어 헤치고/우리는 서로를 표절한다./다만 기쁘도록/다만 어울리도록/그런 아침과 밤을 만나게 하는 까닭,/그것을 표절하는 남자와 여자,/자연과 인간은 표절투성이다/태초, 하늘이 나를 표절하듯/신이 나를 표절하듯."'표절'이라는 낱말이 일곱번이나 나오는 이규호(李閨豪)의 시 '만나게 하는 까닭'은 은근한 사랑을 그리면서 인간사를 표절의 역사로 묘파하는 절창이다. 기자는 요동치는 탄핵정국 속에서.. 더보기
<아침을 열며...> 인재할당제의 거울 中國科擧 2004-03-03 최근 정부가 제시한 지방인재 채용목표제에 위헌론과 역차별론을 들이대며 반대하는 이들은 중국의 과거제도 역사를 보면 한번쯤은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까 싶다. 사법고시니 행정.외무.기술고시니 하는 것들도 모두 따지고 보면 중국 과거제도가 그 원조이기 때문이다.과거제도의 발상지인 중국에서는 송나라 때부터 인재의 지역분배 논쟁이 치열했다. 당나라 때 안사(安史)의 난 이후 중국의 북방은 치명타를 입어 경제.문화가 남방에 비해 날이 갈수록 낙후된 탓이다. 오늘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점점 벌어져 지역균형발전문제가 심각한 사회현안으로 떠오른 우리 현실과 흡사하다. 송나라 때 저명한 학자인 사마광(司馬光)과 구양수(歐陽脩)의 대논쟁은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예화의 하나다. 사마광은 '축로취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