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톺아보기-칼럼 썸네일형 리스트형 봇물이룬 청렴서약의 역설 전남 순천시는 스스로 ‘팔마(八馬)의 고장’이라고 부른다. 더없이 자긍심 높은 이름이다. 이곳에선 학교, 체육관, 거리, 회사 이름을 비롯해 ‘팔마’가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심지어 산악회에도 팔마는 인기 있는 이름이다. 죽도봉공원엔 팔마탑이 서 있고, 승주군청 앞에는 아주 오래된 팔마비가 세워져 있다. 팔마는 청렴의 표상이다. 여기에는 한 청백리에 얽힌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멀리 거슬러 올라가 고려 충렬왕 때의 일이다. 이곳 목민관이었던 승평부사(昇平府使) 최석(崔碩)이 비서랑이 되어 수도 개경으로 돌아갈 때 백성들과 향리들이 고을 관례에 따라 좋은 말 일곱 필을 선물로 주었다. 일종의 전별금이다. 최석은 일곱 필이나 되는 말이 필요 없다고 사양하다 마지못해 받아 이삿짐을 나눠 싣고 왔다. 개경에.. 더보기 공자, 마오쩌둥, 중국공산당 90돌 중국 근·현대사는 공자 수난사로 점철됐다. 중국 역사상 가장 상징적 인물인 공자는 세 번에 걸쳐 집단적 타도대상에 오른다. 모두 근대화 과정에서다. 태평천국, 5·4운동, 문화대혁명이 그 때다. 첫 번째 파도인 태평천국 당시 지도자 홍수전(洪秀全)을 숭앙하는 백성들은 공자를 ‘요마’(妖魔)라고 타매하며 공자 사당을 닥치는 대로 부쉈다. 공자의 목주(위패), 그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열 사람인 십철(十哲)의 사당도 보이는 대로 파괴하고 불태웠다. 백성을 탄압하고 나라를 망치는 것이 유교와 부패한 관리들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남녀평등과 농민이 잘사는 나라를 만드는 게 그들의 이상이었다. 중국 현대사의 시발점이 된 5·4운동 때는 ‘공자 상점을 타도하라!’ ‘공자주의를 쳐부수자’가 주요 슬로건 가운데 하나였.. 더보기 남의 불행 먹고 사는 최고 엘리트들 ‘주홍글씨’ ‘큰 바위 얼굴’의 작가 너대니얼 호손은 보든대학 시절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소설가가 되기로 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의사가 되어 볼까 싶어도 다른 사람이 아프기만 바라야 하고, 변호사가 되려고 생각해 보니 늘 누군가가 다투기를 바라야 하니 사람이 할 짓이 아니네요. 그렇다고 남의 죄로 먹고 사는 목사가 되는 것도 마뜩찮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작가가 되는 것 말고 달리 무슨 직업이 있겠습니까?” 호손의 편지에는 다분히 익살기가 섞였지만 남의 불행을 먹고 사는 직업을 빗댄 상상력은 번뜩이는 작가답다. 고통을 겪는 사람을 돕거나 치유해 준다는 소명의식을 일단 젖혀놓고 직업이 갖는 특성만 보면 호손의 재담이 설득력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의사는 병을 앓는 환자.. 더보기 김정일 부자 사격 표적지 논란 2004년 4월 27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놀라운 소식 하나를 전했다. 수백 명의 사망자를 낸 평안북도 룡천역 열차폭발사고 당시 주민들이 아비규환의 순간에도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상화’를 목숨과 바꾸며 챙겼다는 얘기다. 중앙통신은 ‘수령결사옹위의 숭고한 화폭’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상점 수매원 두 사람이 점심식사를 하러 가던 중 강한 폭음소리를 듣고 기업소로 달려가 김일성 부자의 초상화를 품에 안고 나오다 무너지는 건물에 깔려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 폭발사고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룡천소학교의 30대 교사는 수업 도중 학교건물이 붕괴되면서 교실에 불이 나자 3층 교실에 있던 김일성 부자 초상화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 뒤 제자 7명을 구해내고 자신은 숨졌다. 또 다른 50대 교사도 초상화를.. 더보기 박근혜의 아버지 과오 사과하기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으로 사과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드물다. 그게 개인은 물론 가문이나 조직의 명성과 평판에 흠결을 남길 개연성이 높으면 한층 어렵다. 미국 시인 랠프 에머슨은 “분별력 있는 사람은 결코 사과하는 법이 없다”고 사과의 어려움을 갈파한 바 있다. 심지어 수백 년의 세월 동안 숙제로 남는 일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역대 일본 총리들의 과거 식민 지배에 대한 형식적인 사과가 있었지만 역사 왜곡과 정치인들의 망발로 되돌이표가 되고 마는 것만 봐도 잘못의 인정이 그만큼 지난하다는 걸 방증한다. 사과 얘기가 나오면 일본이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독일과 늘 비교되는 것은 사뭇 다른 처신 때문이다. 세계적인 정신의학자인 아론 라자르는 공적인 사과의 대표적인 모범 사례로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의.. 더보기 ‘정의’의 상대성 원리?--미국의 정의, 세계의 정의 오사마 빈 라덴이 사살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 프랑스의 진보적 권위지 르몽드는 1면 머리기사 제목으로 ‘정의가 이뤄졌다’고 달았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심야연설 키워드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르몽드가 2001년 9·11 테러 다음날 머리기사 제목을 ‘우리 모두가 미국인이다’라고 뽑았던 걸 떠올려 보면 의문의 여지가 없다. 당시 충격을 표현할 말이 부족함을 느꼈다는 르몽드는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다. 1962년 베를린에서 스스로 베를린인이라고 선언했던 존 F. 케네디처럼 우리는 모두 뉴욕인이다. 광기는 그것이 비록 절망에서 비롯되었다는 핑계가 있다 하더라도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다”라고 썼다. 진보신문조차 이렇다면 알카에다 최고.. 더보기 조조, 강희제, 이명박 천하를 경영한 조조(曹操)와 강희제(康熙帝)의 인재등용 철학은 대조를 이룬다. 위나라를 세운 조조는 재능을 늘 첫 손가락에 꼽았다. 반면에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황제로 꼽히는 청나라 강희제는 덕을 최우선 순위에 두었다. 두 사람은 역대 중국 황제 가운데 인재를 중시한 대표적인 지도자에 속하지만 용인술은 이처럼 대척점에 서 있다. 이 때문에 재능이 먼저냐 덕이 먼저냐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곤 한다. 조조는 능력만 있으면 남에게 욕을 먹거나말거나 주저 없이 발탁했다. 그는 심지어 이런 말까지 했다. “비록 형수와 간통한 인간이라도, 뇌물을 받아먹은 전과가 있는 인간이라도 재능만 있으면 쓴다.” 인재를 널리 구한다는 ‘구현령’(求賢令)을 발표했을 때도 그의 철두철미한 능력 우선주의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청렴.. 더보기 지상전 성공사례 없는 미국 초강대국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지상군을 투입한 전쟁에서 목적을 달성한 적이 없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가장 먼저 치른 한국전쟁부터 그렇다. 더글러스 맥아더장군은 38선을 돌파하더라도 중공군이 참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오판했다. 하지만 30여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민해방군의 개입으로 말미암아 현재까지 정전상태에 머물러 있다. 공산주의자들의 침략을 물리치기는 했으나 결과는 현상유지에 그쳐 엄청난 희생의 대가를 얻지 못했다.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쿠바 피그만 침공 역시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 린든 존슨 대통령이 주도한 베트남전에서도 치욕적인 패퇴를 맛보았다. 북베트남군이 어뢰정으로 미 군함을 선제공격했다며 통킹만 사건을 조작한 뒤 본격적인 베트남전쟁 개입을 시작했던 것은 2003년 이라크 전.. 더보기 먹물들의 속물근성 나라 밖에서 중동 민주화 열풍과 역풍, 일본 대지진·원전 위기 소식으로 온 세상이 뒤덮여 있는 사이에 나라 안에선 속물적 외설사건들이 일일연속극처럼 대중의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그것도 우리 사회의 최고엘리트 집단인 먹물들의 허위의식과 이중성이 발가벗겨진 속물근성이어서 수다와 가십을 드러내 놓고 즐기는 세태와 맞물려 간다. 상하이총영사관 스캔들, 장자연 자필편지논란, 신정아 자서전의 공통점 가운데 하나가 포르노그래피다. 먹물들의 이상한 욕화가 스멀거린다. 린 헌트 미 펜실베니아대 역사학 교수는 포르노그래피를 정치적 무기라고 규정한다. 헌트는 이란 저작에서 포르노그래피가 귀족집단의 위선을 폭로하기 위한 정치팸플릿이 하나의 장르로 정착돼 현재에 이르렀다고 분석하고 있다. 사람들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더보기 [김학순 칼럼] 스웨덴 복지모델의 앞날 입력 : 2006-09-19 17:57:21 지리적으로나 이해관계로도 그리 가깝지 않은 나라의 일이지만 스웨덴의 총선 결과가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파장을 낳고 있다. 줄잡아도 찻잔 속의 태풍 수준은 넘어 보인다. 정치권은 물론 재계와 시민사회에 이르기까지 이해득실을 저울질하는 모습이 잡히기도 한다. 공고한 위상을 자랑하던 스웨덴 중도좌파 정권이 총선에서 우파연합에 진 것은 하나의 모델이 언제까지나 지지받기 쉽지 않음을 입증한다. 지난 12년간, 그것도 과거 74년 가운데 65년간이나 굳건하게 집권해 온 좌파 정권의 수명이 다했다는 사실은 지구촌 사람들의 눈길을 잡기에 충분한 뉴스다. 스웨덴이 복지국가 모델 중의 모델로 손꼽히며 요즘 들어 찬반 양론이 극명한 한국에서는 여느 외국 선거 못지 않은 관심사가..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