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는 잘 알려진 대로 사실상 석유 하나만 믿고 사는 나라다. 정부 수입의 80퍼센트, 수출의 95퍼센트, 국내총생산(GDP)의 30퍼센트가 석유산업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의아하겠지만 사막의 나라인 리비아는 석유가 발견되기 이전까지 국민 대다수가 농업으로 먹고 살았다. 리비아의 농업은 ‘역사학의 아버지’ 헤로도토스가 기원전 450년경에 쓴 인류 최초의 역사서인 <역사>에도 등장할 정도다. 고대 그리스의 헤로도토스는 바다를 건너 직접 리비아를 방문한 뒤 토양과 3모작을 상술하고 있다.
“키레네 지방은 유목민이 사는 리비아 땅에서 가장 높은 곳(해발 600미터)으로, 놀랍게도 1년에 세 번씩이나 수확을 한다. 먼저 해안 지대의 곡식이 익어 수확할 때가 된다.
해안 지대의 곡식을 거둬들이고 나면 ‘언덕들’이라는 해안지대 위쪽 중간 지대의 곡식이 익어 수확할 시기가 된다. 두 번째 곡식을 수확하고 나면 가장 높은 지대에 있는 곡식이 익어 거둬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첫 번째 수확한 곡식을 다 먹고 마시고 나면 마지막 곡식이 들어온다. 그래서 키레네에서는 8개월 동안이나 수확기가 계속된다.”
<무아마르 카다피>
이처럼 석유의존도가 높아진 리비아는 세금을 걷기는커녕 석유를 다른 나라에 판 돈을 국민에게 나눠주는 것이나 다름없다.
현금으로 주는 것은 물론 아니다. 교육, 의료 같은 복지혜택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형태다. 국민들이 국제가격보다 훨씬 싼 값으로 석유나 식량을 사는 것도 분배정책에 속한다. 국영기업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석유 수입의 일부를 국민에게 복지의 형태로 분배하는 것은 다른 산유국 일부 독재자들이 그렇듯이 국민을 회유하기 위한 미끼다.
하지만 리비아의 철권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는 석유수입을 국민에게 공정하게 분배하지 않았다. 당연히 자신의 몫을 엄청나게 많이 챙겼다. 나머지도 피붙이, 친인척, 같은 부족, 같은 고향, 친위대에게 훨씬 유리하게 돌아갔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불평등 분배로 사회불안과 정권 안보에 위협이 되기 십상일 게다. 유감스럽게도 그것이 권력유지 방식이었다. 위기 때 배신하지 않을 충성조직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리비아가 정치적 민주화는 물론 경제적 민주화가 절실한 까닭이다.
시민혁명으로 시작된 반정부 세력의 공세에 밀려 카다피의 독재가 종말을 고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다. 카다피는 ‘사막의 라이온’으로 불린 리비아 독립투사 오마르 무크타르(1862~1931)를 존경해왔던 터라 무크타르처럼 체포돼 처형당하는 길을 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카다피는 자신이 비난했던 이탈리아의 파시즘 정권보다 더 잔혹한 방법으로 민주화 시위에 맞서왔다. 카다피의 철권통치 42년간 희생자는 정확한 통계조차 없을 정도다.
카다피와 무크타르는 차원이 다른 인물이다. 무크타르는 독립운동 당시 “이슬람은 저항 능력이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무슬림은 전쟁을 증오한다”며 생포된 이탈리아 병사를 돌려보냈을 만큼 인간적이다.
이탈리아 병사들도 적군의 생명까지 고귀하게 여겼던 무크타르를 잘 알았기 때문에 그의 시신 앞에서 거수경례를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이 때문에 자국민을 무자비하게 학살한 카다피가 ‘사막의 라이온’ 무크타르와는 판이한 반이슬람, 반인륜적 범죄자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다.
초록색만으로 되어 있는 리비아 국기. 한 가지 색으로만 된 유일한 국기이다.
녹색은 이슬람교와 아랍인에게는 신성시되고 있다. 리비아 국기는 1977년 11월 19일 제정됐다.
이번 리비아 혁명 내전과정에서 반군 측이 카다피의 쿠데타로 물러난 이드리스 왕의 사진과 이드리스 왕 시절의 삼색기를 흔들며 다닌 것도 자신들의 결속을 돕고 정체성을 과시한 측면이 있지만 향후 국가 전체의 통합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이 트리폴리타니아 지역민들의 경계심을 자극했고 카다피 측의 좋은 선전거리가 되기도 했다. 반 카다피 세력의 대표기구인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NTC)에 수많은 난제가 남은 것이다.
카다피 이후 리비아가 신속히 민주정권을 수립하고 내전 피해를 재건하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와야 할 국제사회의 역할이 무엇보다 소중하게 됐다. 기본적으로 리비아 내부의 이해당사자들이 풀어나갈 문제지만 초기의 갈등을 조정하는 것은 오롯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몫이다.
미국이 유럽 국가들이 책임의 대부분을 맡아야할 지역 문제로 여기는 점은 한편으론 다행이다. 실제로 식민 통치를 했던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자신들의 문제로 본다. 석유 문제만 해도 주요 유럽 국가들이 각기 10% 이상의 원유 수입을 리비아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의 리비아산 석유 의존도는 0.5%에 불과하다.
미국은 지정학적으로도 중동의 아랍 국가들과는 비중을 다르게 치부한다. 리비아는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등과 함께 아랍세계에서도 마그레브라는 서쪽 변방지역에 속해서다. 마그레브란 말은 ‘해가 지는 곳’이란 뜻을 지녔다. 미국이 반군 지원과정에서 나토를 전면에 내세운 것도 이런 배경이 어느 정도 깔려 있는 듯하다.
리비아 국민들의 희망대로 ‘자유롭고 민주적인 국가’를 이루는 과정에서 이해당사국들의 따뜻한 보살핌을 보여주는 게 도리다. 모두들 마음은 벌써부터 콩밭에 가 있어 쉽지는 않겠지만 석유는 그 다음 문제다. 난마처럼 얽혀 있는 리비아 혁명의 성공은 중동지역 민주화를 위한 지구촌 전체의 시험무대다.
1969년 ~ 1972년 리비아 국기
1972년 ~ 1977년 리비아 국기
'세상톺아보기-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스토리로 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미국 (0) | 2011.09.28 |
---|---|
박원순의 반면교사·정면교사 (1) | 2011.09.20 |
시리아의 광주, 하마의 비극 (4) | 2011.08.08 |
스핀 닥터 정치의 빛과 그림자 (1) | 2011.07.26 |
봇물이룬 청렴서약의 역설 (1) | 201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