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비목 입력 : 2006-09-24 18:06:06 국민가곡 ‘비목’(碑木)은 제목부터 잔뜩 애잔하다.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로 시작하는 가사는 시종일관 처연하다. 4분의 4박자인 느린 템포로 이어지는 곡조는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비목’이 ‘가고파’ ‘그리운 금강산’과 더불어 3대 애창곡으로 불리는 까닭도 이처럼 애닯은 정감이 한국인들의 한(恨)과 접목돼 있기 때문이리라. ‘비목’의 탄생은 지금부터 4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3년 어느 날, 동족상잔의 전쟁 상흔이 남아 있는 강원도 화천군 백암산 기슭에서 수색중대 소대장인 육군 소위가 사병들과 함께 순찰을 돌고 있었다. 그는 우연히 이끼 낀 돌무덤을 발견한다. 무덤 쪽으로 발길을 옮기던 소대장은 놀라 멈칫했다. 보통 무.. 더보기
[김학순 칼럼] 스웨덴 복지모델의 앞날 입력 : 2006-09-19 17:57:21 지리적으로나 이해관계로도 그리 가깝지 않은 나라의 일이지만 스웨덴의 총선 결과가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파장을 낳고 있다. 줄잡아도 찻잔 속의 태풍 수준은 넘어 보인다. 정치권은 물론 재계와 시민사회에 이르기까지 이해득실을 저울질하는 모습이 잡히기도 한다. 공고한 위상을 자랑하던 스웨덴 중도좌파 정권이 총선에서 우파연합에 진 것은 하나의 모델이 언제까지나 지지받기 쉽지 않음을 입증한다. 지난 12년간, 그것도 과거 74년 가운데 65년간이나 굳건하게 집권해 온 좌파 정권의 수명이 다했다는 사실은 지구촌 사람들의 눈길을 잡기에 충분한 뉴스다. 스웨덴이 복지국가 모델 중의 모델로 손꼽히며 요즘 들어 찬반 양론이 극명한 한국에서는 여느 외국 선거 못지 않은 관심사가.. 더보기
[여적] 첫 인상의 허실 입력 : 2006-09-10 18:06:17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은 젊은 시절 연방수사국(FBI) 직원 채용시험 때 낙방의 쓴 잔을 들어야 했다. 최종 면접 시험관은 29살때 국장이 된 뒤 무려 48년간 닉슨을 포함해 8명의 대통령을 보좌한 신화를 남긴 에드거 후버였다. 낙방 이유는 첫인상이 음울해 보인다는 것이었다. 닉슨이 그때 합격했더라면 훗날 대통령이 되지 못했을 개연성이 높지만 시험에 떨어져 기분 좋을 리 없었다. 세상을 유혹한 세기의 스타 마릴린 먼로에게서도 흡사한 예화가 전해진다. 먼로는 18살 때 사진모델을 지망했다. 하지만 당시 캐스팅 전문가들은 먼로의 첫인상에 한결같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한 모델 에이전시는 “당신은 실무를 배워 비서가 되거나 아니면 결혼하는 편이 낫겠다”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