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부시맨의 귀향 입력 : 2006-12-15 18:02:41 아프리카의 부시맨은 독특한 생활 철학을 지녔다. 동작이 굼뜬 사슴이나 토끼 같은 동물은 절대로 사냥하지 않는다. 노인들에게 사냥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야생 열매를 딸 때는 반드시 씨앗이 될 만큼 남겨둔다. 벌집이 꿀을 딸 정도로 크지 않으면 건드리지 않는다. 물을 마시러 오는 동물들을 위해 우물 근처에는 절대 덫을 놓지 않는다. 아프리카 남부 칼라하리 사막 주변에 살던 부시맨들과 생활한 적이 있는 한 인류학자가 관찰한 결과다. 부시맨은 2만 여년 동안 문명과 격리되어 석기시대의 삶을 지속해 왔다. 지금까지 조금도 발전하지 않았다는 것은 기적에 가깝다. 부족 전체합의제는 부시맨을 원시상태로 잡아둔 원인 가운데 하나다. 찰스 다윈은 이를 ‘세상의 가장 이상적인.. 더보기
[여적] 부정(父情) 입력 : 2006-12-08 18:06:02 기후학자인 잭 홀 박사는 남극에서 빙하를 탐사하다 언젠가는 기상이변이 올 것이라는 사실을 직감하고 국제회의에서 경고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의 말을 무시한다. 얼마 뒤 보란 듯이 홍수, 해일, 태풍, 토네이도 등 온갖 재해가 전세계를 덮친다. 때마침 뉴욕 퀴즈대회에 참가하러 간 아들 샘을 구하기 위한 아버지의 숨막히는 결투가 시작된다. 아들은 돌변하는 이상기후를 기이하게 여겨 지대가 높은 도서관으로 피신하고, 아버지에게 사력을 다해 전화를 건다. 아버지는 아들을 구하려 하지만 백악관 브리핑 때문에 발목이 잡히고 만다. 결국 세계지도의 반을 금으로 그어놓고 그 위의 사람들을 모두 아래로 대피시키라는 말을 남기고 떠난다. 사투 끝에 아버지 홀은 아들을 구해낸.. 더보기
[여적] 금기 스포츠 입력 : 2006-12-01 17:57:46 이란에서 마라톤 얘기를 하면 실례다.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안 게임에 이란의 마라톤 선수가 출전하지 않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이란은 1974년 자국의 수도 테헤란에서 아시안 게임을 개최했을 때 마라톤 종목은 아예 없앴을 정도다. 이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마라톤을 금기로 여기는 나라다. 이란이 이처럼 마라톤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데는 뼈아픈 역사가 서려 있다. 마라톤이 근대 올림픽과 국제경기 종목으로 채택된 연원이 되는 마라톤 평원 전쟁에서 고대 이란의 페르시아제국이 아테네에 참패했던 일이 그것이다. 이란으로서는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이 마라톤 전투다. 일본에서는 국기(國技)인 검도가 태평양전쟁 직후 맥아더 미군 사령부의 금지 명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