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문화의 차이 입력 : 2007-01-19 18:06:09 곧이곧대로 믿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일본 여성들은 남성들이 군대 얘기를 하면 대부분 흥미롭게 들어준다고 한다. 한국 여성들이 군대 얘기라면 여전히 달갑잖게 여기는 것과 사뭇 대조적이다. 한국의 어머니들이 자식들에게 1등 하라고 다그치는 것과는 달리 일본의 엄마들은 남에게 폐를 끼치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을 일삼아 한다.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다른 사회의 풍경화다. 개화기에 한 외국인이 한국의 전통 결혼 풍습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신랑을 쏘아 죽였다는 일화도 문화의 차이가 낳은 비극이다. 신랑을 거꾸로 매달아 놓고 발바닥을 때리며 뒤풀이를 하는 모습을 보고 있던 외국인이 “사형시켜야 하는 죄인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영어를 잘 알아듣지 못한 사람들이 무심결에 “예.. 더보기 [여적] 중국 권력투쟁 입력 : 2007-01-12 18:08:24 ‘타고난 책사’ ‘꾀주머니’ ‘공작정치의 달인’ ‘킹메이커’ ‘장쩌민(江澤民)의 오른팔’ ‘장쩌민의 손·귀·머리’. 쩡칭훙(曾慶紅) 중국 국가부주석에게 붙어다니는 별명만 들어도 그가 현기증 나는 권력게임에 어느 정도 달인인지 짐작하고 남는다. “루이싱원(芮杏文)은 중앙으로 올라갈 때 고급 가구를 갖고 갔지만 장쩌민은 쩡칭훙을 데려갔다.” 장쩌민이 상하이시 서기를 지낸 뒤 베이징의 중앙정치 무대로 진출할 때 화제가 되었던 이 일화도 쩡칭훙의 위상을 한마디로 표징한다. 쩡칭훙의 권력 요리솜씨를 보면 예술의 경지로 보인다. 지난해 후반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겸 공산당 총서기가 상하이방(上海幇) 축출에 나섰을 때 쩡칭훙은 자기 편에 사정의 칼날을 겨눈 것으로 유.. 더보기 [여적] 매파와 비둘기파 입력 : 2007-01-05 18:07:22 고대 이스라엘이 로마제국을 상대로 줄기차게 독립운동을 하다가 서기 60년대 후반 중과부적(衆寡不敵)의 상황에 빠지고 만다. 그러자 유대 독립군 안에서는 결사항전해야 한다는 매파와 더 이상 싸우면 민족까지 멸망한다는 비둘기파가 치열하게 논쟁을 벌였다. 마치 병자호란이 터졌을 때 조선의 조정이 주전론자(主戰論者)와 주화론자(主和論者)로 나뉘었던 상황과 흡사했다. 독립군이 연전연패하자 결사대의 비둘기파인 한 랍비가 로마군 사령관이던 베스파시아누스를 찾아간다. 이 랍비는 쇠사슬에 묶여 사령관 앞에 끌려갔다는 주장도 있긴 하다. 어쨌든 이 랍비는 사령관이 곧 황제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의 예언이 맞아 떨어지자 사령관은 그에게 소원 한 가지를 들어주겠다고 선심을 썼.. 더보기 이전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