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금지된 사랑 입력 : 2007-03-09 17:58:23 미국 소설가 로널드 토비아스는 ‘금지된 사랑’의 플롯을 여섯 가지로 나눠 설명한다. 우선 금지된 사랑은 사회 관습에 어긋나 연인들에게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반대하는 세력이 있다. 둘째, 연인들은 사회 관습을 무시하고 열정만 좇아간다. 대개 비극적 결과가 뒤따른다. 셋째, 간통은 가장 흔한 금지된 사랑이다. 간통한 사람은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프로타고니스트(주인공)이거나 안타고니스트(주인공의 경쟁자)가 된다. 배반당한 배우자도 마찬가지다. 다음으로 첫번째 극적 단계는 두 사람의 관계를 규정하고 사회적 범위 안에서 둘의 위치를 알려준다. 그들이 위반한 금기는 무엇인가? 그들과 주변 인물들은 이를 어떻게 다루는가? 두번째 극적 단계는 사랑하는 연인들이 관계의 .. 더보기
[여적] 죽음의 무게 입력 : 2007-03-02 18:03:24 “죽음은 때로는 태산보다 무겁고 때론 기러기 털보다 가볍다.” 죽음의 무게는 사마천(司馬遷)의 표현대로 때에 따라 편차가 이처럼 크게 느껴진다. 추상적일 수밖에 없고 수수께끼 같은 죽음의 무게에 대한 궁금증은 자연과학자들에게도 결코 예외는 아니었던 것 같다. 죽음으로 인해 육체와 분리된다는 영혼의 무게가 21g이라는 학문적 연구결과는 이미 20세기 벽두에 등장했다. 미국의 던컨 맥두걸 박사(1866~1920)는 1907년 과학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죽은 뒤 신체에서 빠져나가는 영혼의 무게는 21g이다”라고 주장, 학계를 놀라게 했던 것이다. 맥두걸의 과학적 실험은 인간의 영혼도 하나의 물질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했다. 그는 사람이 죽은 뒤 영혼이 육체를 떠난다면.. 더보기
[여적] 길 입력 : 2007-02-23 18:03:59 “나를 키운 건 8할이 길이었다.” 한 여행가는 ‘길 예찬론’을 이렇게 편다.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8할이 바람이다”라고 읊조린 서정주 시인의 ‘자화상’ 한 구절을 패러디한 것이다. 여행가가 아니더라도 길을 나서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함께 가는 길이 대개는 즐겁지만 혼자 떠나는 길이라고 외롭지만은 않다. 우리 앞 길에는 수려하고 정감이 넘치는 길과 험난한 가시밭길이 언제나 공존한다. 가고 싶지 않은 길을 가야할 때도 많다. 힘겨운 고갯길에서 한숨을 내쉬지만 내리막길에서는 한번쯤 휘파람을 불어본다. 골목길과 고샅길을 지나면 한길이 나온다. 비탈길, 벼랑길, 자갈길을 가면서 때론 주저앉고 싶지만 곧 반가이 맞아줄 포장길과 꽃길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