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무너진 불패 신화 입력 : 2008-08-15 17:57:28ㅣ수정 : 2008-08-15 17:57:38 ‘영원한 것은 없다.’ ‘월가의 신화’로 불리다 한 달여 전 세상을 떠난 억만장자 존 템플턴경이 남긴 성공 투자를 위한 십계명 가운데 하나다. 종교계의 노벨상으로 일컫는 템플턴상을 제정한 그가 존경받는 이유도 그런 정신이 바탕에 깔려 있다. ‘결승선은 없다.’ 세계 스포츠계의 거물 ‘나이키’의 회사 표어다. 그리스 신화 ‘승리의 여신’ 니케를 따 작명한 이 회사의 표어는 ‘영원한 승자는 없고 새로운 승부만 존재한다’는 것을 표상한다. 승패는 언제나 교차되는 법이다. 병법의 달인 손자는 이를 ‘전승불복’(戰勝不復)이라는 사자성어로 표현한다. 전쟁에서 한 번 거둔 승리는 반복되는 게 아니라는 경구다. 손자병법은 승리가 .. 더보기 침통한 노동의 미래 신통한 대안도 없다 입력 : 2008-08-08 17:23:35ㅣ수정 : 2008-08-08 17:23:39 이솝 우화 ‘개미와 베짱이’의 현대판 버전들은 노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풍자한다. 개미가 여름 내내 땀을 흘리며 일하는 동안 노래만 부르던 베짱이가 겨울에 음반을 내고 콘서트도 열어 엄청난 돈을 벌었다는 개정판은 지식사회의 단면을 반영한다. 반면에 일을 많이 한 개미가 허리를 다쳐 입원했다는 풍유는 과로 방어와 휴식의 중요성을 파고든다. 노래만 부르던 베짱이가 겨울에도 개미를 찾아가 구걸하지 않고 국가의 복지수당으로 잘 먹고 잘 살았다는 끝맺음은 북유럽 노동자들과 비교할 때 등단하곤 한다. 이처럼 익살과 해학의 소재가 되는 노동은 기실 더없이 신성하게 다뤄지는 명제다. 피렌체의 성 안토니오가 남긴 잠언의 물결은 넓.. 더보기 [책과 삶]서양인이 꼬집은 ‘전후 일본’ 입력 : 2008-08-08 17:27:30ㅣ수정 : 2008-08-08 17:27:43 ▲일본의 재구성…패트릭 스미스 | 마티 “처음에 이 책을 집어들 때는 서양인이 일본에 관해 그저 그런 책을 또 한권 썼겠거니 했는데 막상 읽다보니, 이전부터 나도 모르게 생각은 하고 있었으되 미처 또렷하게 의식하지 못했던 부분을 짚어주는 게 아닌가.” 지은이가 한국 독자들에게 쓴 편지의 마지막 부분에 일본 독자가 남긴 말을 인용한 대목이 이 책의 개괄적인 인상을 함축적으로 담아내는 듯하다. ‘일본의 재구성’(원제 Japan: A Reinterpretation)은 10년 전 미국과 일본에서 동시 출간된 ‘전후 일본 개설서’이지만 대부분 그대로 받아들여도 좋을 만큼 탁견으로 교직됐다. 저자 패트릭 스미스는 1980년대 .. 더보기 이전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