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꾀병환자 입력 : 2008-07-04 17:38:09ㅣ수정 : 2008-07-04 17:38:26 한국 최초의 희곡 작품에 꾀병환자를 등장시킨 것은 흥미롭다. 조중환의 ‘병자삼인’은 세 꾀병환자와 그 아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소극(笑劇)이다. 당시 오도된 개화여성의 단면을 그리면서도 여성권리를 옹호한 이 작품은 1912년 매일신보에 연재됐다. 선구자적인 시도에도 불구하고 억지웃음을 자아내려는 유형화된 스토리와 과장된 몸짓으로 말미암아 첫 흥행에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병자삼인’은 올 봄에도 ‘출세하자, 출세해’라는 제목으로 각색돼 대학로 연우무대에 올려질 정도로 연극사적인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 첫 희곡 작품의 주인공들이 꾀병환자라는 게 공교롭지만 누구나 어린 시절 한두 번쯤 꾀병 추억을 간직하고.. 더보기 ‘협상 노하우’ 키우기 입력 : 2008-06-27 17:30:58ㅣ수정 : 2008-06-27 17:30:58 단일 전문주제에 관한 책으로 ‘협상’만큼 추천도서가 많은 것도 드물다는 걸 알고 나면 놀랄지 모른다. 우리나라 최대서점으로 꼽히는 교보문고가 추천도서로 지정한 협상 관련 책만 30권이 훨씬 넘는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찾아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사실이다. 권위와 명예가 걸려 있어 추천도서를 남발할 수 없는 입장을 생각하면 30권이 넘는다는 게 약간은 의외다. 한동안 협상에 관한 전문가는 물론 책도 턱없이 부족해 협상에서 매번 당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던 때를 떠올리면 상전벽해(桑田碧海)나 다름없다. 번역서만 해도 허브 코헨의 ‘협상의 법칙’(청년정신),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협상 테이블의 핵심 전략’(청림출판), 개빈 케.. 더보기 [책과 삶]그들의 60년속에 ‘미래의 대안’이 숨어있다 입력 : 2008-06-27 17:48:28ㅣ수정 : 2008-06-27 17:48:44 ㆍ“스탈린의 北 남침지원은 중대한 오산…이로인해 유럽 역사가 바뀌었다” ▲포스트워 1945-2005…토니 주트 | 플래닛 최근 유럽에는 좋은 소식과 나쁜 뉴스가 겹쳤다. 좋은 뉴스는 유럽 경제가 20년 만에 미국과의 격차를 최소화하고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냈다는 발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유럽의 만성적 저성장·고실업이 민주제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자신들의 경고를 받아들여 구조개혁을 한 덕분에 되살아난 것이라고 생색을 내고 있지만 말이다. 나쁜 소식은 유럽연합(EU)의 마지막 통합 작업인 리스본 조약을 아일랜드가 국민투표로 거부한 일이다. 통합 유럽은 이처럼 곡절을 헤쳐가며 자신들의 역사는 물론 세계사를 .. 더보기 이전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