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향의 눈>빗나간 전쟁영웅 만들기 2003-04-08 가상현실을 표상하는 영화의 세계에서도 한 나라나 사회의 분위기와 정신건강상태가 곧잘 그대로 묻어난다. 이라크 침략전쟁을 함께 벌이고 있는 미국과 영국은 문화적으로 같은 뿌리를 지녔음에도 대비된다.미국 영화 속의 영웅은 문명과 사회, 미덕을 위해 처절하게 싸우는 고독한 전사로 분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슈퍼맨' '터미네이터' '람보' '포레스트 검프'를 비롯한 수많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이런 속성을 띤다. 영국의 영화는 이와 대조를 이루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테면 도덕적으로 다소 중립적인 영웅이 등장하는 '007' 시리즈의 제임스 본드가 대표주자다. 슈퍼맨이 이상주의적이고 청교도적인 미국 영웅이라면 본드는 즐길 줄 알면서도 냉소적인 영국 영웅인 셈이다. 전쟁이라는 현실세계에서도 영화.. 더보기 여적] 기자와 애국심 2003-04-02 미국 애틀랜타에 있는 CNN 본사에는 '전설적인 종군기자' 피터 아네트가 1991년 걸프전 때 바그다드에서 입었던 점퍼와 화염에 그슬린 모자가 신주 모시듯 전시돼 있다. 시청자들이 CNN 하면 걸프전과 아네트를 먼저 떠올리니 그럴 만도 하다. 그 이전까지 1%에 불과하던 CNN의 시청률이 걸프전을 통해 무려 11%로 껑충 뛰어 대박을 터뜨렸고 그 한복판에 아네트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걸프전 당시 아네트가 기사를 보내던 알 라시드 호텔까지도 세계적인 명물이 돼 있다. 로비에는 조지 W 부시 현 대통령의 아버지 얼굴이 큼지막하게 그려져 있어 이곳에 묵는 사람은 누구나 그 얼굴을 밟지 않고서는 들어갈 수 없다. 일흔을 바라보는 아네트(68)는 거의 한평생을 전장에서 살았다. 60년대 베트.. 더보기 <여적>골목대장 2003-03-28 김대중 전 대통령의 셋째아들 홍걸씨에게 용돈 명목 등으로 9억원을 주었다고 폭로했던 최규선씨가 돈의 대가성을 부인하면서 이렇게 해명했다. "나에게 9억원은 아무 것도 아니다. 골목대장이 동네 꼬마에게 딱지 빌려주듯 준 돈이다"골목대장이 어린이들의 딱지치기나 병정놀이와 함께 떠올려진다면 낭만적 추억거리가 되겠지만 어른들, 특히 정치인들에게 옮겨 놓으면 한결같이 비아냥으로 표변하고 만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측근들을 자택 앞에 줄세우고 골목성명을 발표해 골목대장이라는 별명을 얻었던 일을 우리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풍경으로 간직하고 있다. 엊그제 김희상 청와대 국방보좌관이 이라크전쟁 파병 결정의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골목대장론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골목이 조용해지려면 강한 골목대장이 나오.. 더보기 [여적] 전쟁과 소녀 2003-03-24 전쟁이 참혹과 잔인의 극치라면 소녀는 가냘픔과 순수의 대명사다. 극단(極端)의 대척점에 자리한 전쟁과 소녀가 어우러지면 어김없이 전 인류의 최루탄으로 변한다.주목받는 프랑스 작가 기용 게로의 소설 '어느 전쟁 영웅의 당연한 죽음'도 바로 전쟁과 소녀가 겹쳐 떠오르는 이미지 때문에 폭력성을 돋보이게 하는 수작으로 꼽힌다. 작가는 프랑스 병사에게 집안이 유린당한 베트남 소녀를 만나게 된 주인공이 그녀의 복수를 도와주는 줄거리를 설정해 전쟁의 어두운 그림자를 고발한다. 현실세계에서는 문학이나 예술세계의 감동을 성큼 뛰어넘는다. 1999년 '코소보의 안네 프랑크'로 일컬어졌던 알바니아계 16세 소녀 아도나의 e메일 편지가 대표적인 실례의 하나다. 아도나는 동갑내기인 미국 버클리 고교생 피네간.. 더보기 <데스크 칼럼>열린 정부와 알권리 2003-03-17 우리나라 언론의 취재방식과 시스템은 알게 모르게 일본을 닮아왔다. 순전히 일제시대의 잔재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겠지만 결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기사 취재를 대부분 출입처와 기자단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와 가장 흡사한 취재시스템을 가진 나라로는 일본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어렵잖게 이를 유추해 볼 수 있다.'요미우리신문 80년사'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이미 1882년 태정관이라는 곳에 '신문사원휴게소'가 생겨났다. 기자실의 효시인 셈이다. 1890년에는 의회의 탄생과 때를 같이해 의회출입기자단인 '공동신문구락부'가 처음 결성됐다는 기록도 나온다.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일본 국회기자회의 원조라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일본이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사용하던 '기샤단..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새 청와대 홍보팀의 숙제 2003-02-24 출범을 하루 앞둔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참모진은 10년 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때와 닮은 점이 숱하다. 40대 중반에 대통령에 당선된 클린턴이 역사상 가장 젊은 백악관 참모진을 구축했듯이 노당선자도 파격적일 만큼 젊고 참신한 비서진용을 짰다. 특히 백악관 홍보시스템을 벤치마킹한 것은 눈에 띄는 변화 가운데 하나다. 각료는 경륜있는 인사들로 구성하는 대신 백악관과 청와대는 코드가 같은 친정체제로 꾸려 주요정책 입안과 추진에 중점을 두는 전략 역시 클린턴과 노당선자의 공통점에 속한다. 청와대 참모진의 개혁성과 참신성 측면에서 국민들의 기대는 어느 때보다 크다.하지만 마냥 기대에 부풀어 있는 것만은 아닌 듯하다. 여권 내부에서조차 조심스런 눈길로 지켜보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 가.. 더보기 <데스크 칼럼> 우에스기 요잔의 리더십 2003-01-20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이 가장 존경하던 일본인으로 우에스기 요잔(上杉鷹山)을 꼽았다면 고개를 갸우뚱할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등 내로라하는 전국시대의 영웅,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같은 메이지 유신 무렵의 선구자, 마쓰시타 고노스케(松下幸之助) 같은 세계적인 경영자, 전후 초대 총리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등을 제쳐놓고 하필이면 일개 번(▦)의 영주인 우에스기일까 하는 의문이 먼저 드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하긴 1960년대 초 케네디 대통령에게 질문을 던진 일본 기자들마저 "우에스기 요잔이 누구지?"하며 서로 물어보았을 정도였다니 그럴 만도 하다. 18∼19.. 더보기 <데스크 칼럼> 노무현 시대의 개혁방법론 2002-12-23 노무현 정권의 시대정신과 화두의 하나는 유감스럽게도 10년 동안이나 부르짖고 귀에 따갑게 들어온 '개혁'이 될 수밖에 없다. 앞선 두 정권이 불명예스럽게 달았던 '실패한 개혁이란 이름의 딱지'를 떠 안아야 하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겐 달갑잖은 숙제이자 숙명이다. 변화와 개혁을 소리높이 외쳤던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나 또다시 진정한 개혁을 기치로 내걸었던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와 다른 점이 있다면 '3김 시대의 청산'이라는 수사(修辭)가 하나 더 붙는 것이다.두 정권의 개혁 실패원인은 다양하게 지적되고 있지만 잘못 선택된 방법론과 수순 착오로 귀결된다. YS와 DJ의 개혁이 성공하지 못한 원인으로 자기개혁의 실패를 첫 손가락에 꼽는다. 그런 점에 비춰보면 노 당선자가 정.. 더보기 <데스크 칼럼> 물방개 정치론 2002-11-18 대선 국면에서 전개되는 정치인들의 이합집산은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의 '물방개 정치론'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정치가는 물방개와 같은 것이다. 시냇물의 흐름에 따라 어느 때는 동행하고 어느 때는 역행하다가 또 때가 오면 동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큰 강의 흐름에는 모두가 휩쓸려 간다. 오늘의 적은 내일의 우군이요, 크게 보면 천하이지만 작게 보면 국회 안의 의원, 불과 몇백 명 가운데 하나다. 정계에는 '절대'라는 것이 없다. 그런 여유를 가지고 상대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나카소네 전총리는 이 '물방개 정치론'을 후배정치인들에게 거의 예외없이 경구(警句)로 들려주었다. 자신의 자서전에도 빠뜨리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다같이 서구의 민주주의 정치체제와 가치에 바탕을.. 더보기 <데스크칼럼> 정치언어 살생부라도 만들자 2002-10-14 극단적으로 '정치=말'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면 한국의 정치개혁은 말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절감하는 요즘이다. 그렇잖아도 한국이 정치판에서 말이 가장 거친 나라 가운데 하나로 정평이 나 있지만 연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벌어지는 추태를 보면 마치 욕설 경연대회장 같다. 국민의 대표를 뽑는 기준이 쌍스런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다. 최근엔 대선을 앞두어선지 정당의 국회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원내총무들이 의원들의 발언을 자제시키기는커녕 한술 더 뜨는 경향까지 보인다.정치권에서는 국회 밖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어떻게 하면 말의 자극성을 높일까 궁리하는 데 여념이 없는 듯하다. 정당의 대변인들이 지금까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여러 차례 신사협정을 맺고 품격있.. 더보기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