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조작된 증오’로 인한 분쟁 입력: 2008-05-16 17:30:39ㅣ수정 : 2008-05-16 17:30:43 5년 전쯤이었다. 죽어가던 팔레스타인 소년의 장기기증으로 세 명의 이스라엘 어린이가 새 생명을 찾는 감동적인 일이 벌어졌다. 13살난 소년이 지붕에서 떨어져 뇌사판정을 받자 소년의 어머니가 결단을 내렸던 것이다. 미국 메릴랜드대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출신 교수가 곡절을 겪으며 10년 넘게 한 강의실에서 나란히 강의를 해 눈길을 끈 일도 있었다. 그것도 ‘중동의 분쟁 관리’라는 민감한 주제였다. 오로지 갈등과 증오, 유혈이 낭자한 공격과 보복만이 존재하는 두 민족에겐 찾아보기 드문 일이었다. 하지만 삶의 현장은 대부분 엄혹하기 이를 데 없다. 올 들어 가자지구에서만 300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이 이스라엘군의 무차별.. 더보기
[여적]사바의 연꽃 입력 : 2008-05-09 18:22:39ㅣ수정 : 2008-05-09 18:22:44 석가모니는 깨달음을 얻은 뒤 아버지에게 이런 말씀을 드린다. “저는 이전에 아버지 곁을 떠난 그가 아닙니다. 그는 오래 전에 죽었습니다. 물론 저는 같은 몸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그가 진흙이라면 지금의 저는 연꽃입니다. 그러니 그 연꽃에 대고 화풀이를 하지 마십시오. 아버지는 지금 진흙 때문에 화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니 저로 하여금 아버지의 눈물을 닦게 해주십시오.” 부처의 상징인 연꽃은 열 가지 특성을 지녔다고 한다. 첫째, 연꽃은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는다(離諸染汚). 처염상정(處染常淨)이라는 말과 통한다. 둘째, 연꽃잎 위에는 한 방울의 오물도 머무르지 않는다(不與惡俱). 셋째, 연꽃.. 더보기
대중은 스스로 판단한다 입력 : 2008-05-09 17:34:51ㅣ수정 : 2008-05-09 17:34:57 심상정 진보신당 공동대표가 올초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자 당 밖의 대중과 소통하지 못한 것부터 맹성했다. “민주노동당은 진보적 대중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극우보수 언론인 조갑제는 “대중의 여론은 다소 거칠게 표현되지만 그 알맹이엔 진실이 있다”고 주장했다. 2005년 5월19일 홈페이지 글에서 “지금 시중에서 ‘청와대에 간첩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대중을 옹호한 것이다. 반대로 진보적 지식인 홍세화는 “대중은 획득한 것도 쉽게 잊지만 가까운 과거 사실도 쉽게 잊는다. 정치적 무관심을 불러오는 대중의 무지와 기억상실증이 수구세력의 자양분”이라고 한탄했다. 유대계 독일 철학자 발.. 더보기
[책과 삶]비만, 우울증도 죄다? 입력 : 2008-05-02 17:34:32ㅣ수정 : 2008-05-02 17:34:37 ▲죄의 역사…존 포트만 | 리더스북 ‘만들어진 신’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는 예의 독설로 개탄한다. “기독교인들은 자나 깨나 오로지 죄, 죄, 죄, 죄만 부르짖는다. 평생을 죄라는 굴레에 옭매여 끌려 다녀야 하는 삶이라니, 이 얼마나 가련하고 어리석은 짓인가”라고. 하긴 서구 역사와 문화에 어김없이 관류하는 가톨릭과 기독교는 죄를 빼놓고선 존립할 수 없다. 그것도 원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으니 말이다. 죄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이기도 하다. 해서 시대마다 종교와 철학은 인간의 기본적 체험에 속하는 죄의 신비를 해석하려 들었다. 종교학자이자 철학자인 존 포트만은 ‘죄의 역사’(원제 A History.. 더보기
[여적]석양 음악 입력 : 2008-05-02 17:51:51ㅣ수정 : 2008-05-02 17:51:55 석양이 서쪽 하늘 아래로 뉘엿뉘엿 넘어가려는 순간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2악장이 은은하게 울려 퍼진다. 한없이 푸른 창공엔 희디흰 구름이 솜털처럼 떠다닌다. 광활하게 펼쳐진 대초원 한 가운데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노니는 야생 동물을 보면 평화롭기 그지없다.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을 서정적으로 그린 웅장한 대작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이런 장면을 보면 누구나 목가적인 사랑이 흐르는 아프리카 생활을 꿈꿔 볼 것이다. 아이작(메릴 스트리프)과 데니스(로버트 레드퍼드)처럼 여유로이 거니는 광경을 상상하면서. 모차르트가 유일하게 남긴 이 클라리넷 협주곡은 영화 속에서 자연의 장엄미와 유유자적한 정감을 한껏 부풀.. 더보기
인종의 우열은 없다 단지 환경이 다를 뿐 입력 : 2008-05-02 17:23:49ㅣ수정 : 2008-05-02 17:23:55 ‘전작주의’란 신조어를 만든 애서가 조희봉은 존경하지만 일면식도 없는 소설가 이윤기를 주례로 모실 정도였다. 조희봉은 이윤기 자신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저서와 번역서를 모두 읽고 소중히 보관하는 정성의 극치를 보여준다. 전작주의란 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모아 읽고, 그 의미를 해석해냄으로써 그 작가와 작품 세계를 온전히 자신의 세계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전작주의자의 꿈-어느 헌책수집가의 세상 건너는 법’(함께읽는책)이라는 저서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전작이란 어느 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 의미를 좀더 확장시켜 보면 그 작품들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다른 작품들까지도 포괄한다. .. 더보기
[여적]박경리 입력 : 2008-04-25 18:09:23ㅣ수정 : 2008-04-25 18:09:28 ‘주홍글씨’ ‘큰 바위 얼굴’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언젠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소설가가 되기로 한 까닭을 이렇게 썼다. “변호사가 되려고 생각해 보니 늘 누군가가 다투기를 바라야 하고, 의사가 되어 볼까 싶어도 다른 사람이 아프기만 기다려야 하니 사람이 할 짓이 아니네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소설이나 쓰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중국 작가 루쉰은 일본에서 의학을 공부하다가 고국으로 돌아간 뒤 신체의 병을 고치는 의사가 되는 것보다 중국인의 병든 정신을 고쳐 주는 일이 더 급하다는 걸 깨닫고 소설가가 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프랑스의 저명한 소설가 미셸 투르니에가 문학에 투신한 이유는 선.. 더보기
佛원로작가의 직관·유머 흐르는 산문 입력 : 2008-04-25 17:21:25ㅣ수정 : 2008-04-25 17:21:31 소설 이외에 잡문을 일절 쓰지 않았음은 물론 후학들에게도 늘 그걸 당부하곤 했던 황순원의 눈으로 보면 아들 동규는 불효자나 다름없다. 시인 황동규는 시보다 산문이 더 쓰기 좋다고 털어놓은 적이 있으니 말이다. 황동규는 실제로 아버지와 다른 문학을 하고 싶어 산문을 쓴다고 했다. 황순원의 시각으로는 ‘루쉰의 잡문은 문학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해 확신에 찬 목소리로 긍정한 중국 원로학자 우엔량쥔도 도무지 마뜩치 않을 게 틀림없다. 쉽고도 재미있는 산문은 여전히 귀한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시인 황인숙은 쓰고 싶지 않은 잡문을 생계 때문에 쓰는 시인의 비애를 산문 아닌 짧은 시로 읊었다. “마감 닥친 쪽글.. 더보기
[책과 삶] 수염과 시가, 그리고 쿠바의 ‘영원한 반항아’ 카스트로 입력 : 2008-04-18 17:37:07ㅣ수정 : 2008-04-18 17:37:12 ▲피델 카스트로: 마이 라이프…피델 카스트로·이냐시오 라모네 | 현대문학 쿠바만큼 유난스레 평등을 강조하는 나라도 찾아보기 드물다. 헌법에 시시콜콜하다 싶을 만큼 구체적인 사안까지 명시할 정도다. ‘모든 인민은 어느 곳 어느 지역에서도 주거할 수 있으며, 어느 호텔에서도 머무를 수 있다.’ ‘모든 인민은 모든 식당과 기타 공공시설을 사용할 수 있다.’ 자유보다 평등을 중시하는 게 사회주의 국가지만 이처럼 평등의 세밀화를 그려놓은 곳은 없다. 혁명 동지 체 게바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1960년대의 피델 카스트로(오른쪽). 여기엔 가슴 아픈 역사적 배경이 있다. 1959년 혁명 이전 쿠바에서는 차별이 얼마나 심했던지.. 더보기
[여적]비옥한 초승달지대 입력 : 2008-04-18 17:40:26ㅣ수정 : 2008-04-18 17:40:32 이슬람 국가에서는 초승달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마호메트(무함마드)가 알라 신으로부터 최초의 계시를 받을 때 초승달과 샛별이 떠 있었기 때문이다. 초승달은 알라 신의 진리가 인간에게 전해지기 시작했다는 상징이다. 이슬람 경전 코란에도 초승달이 등장한다. ‘그들이 그대 무함마드에게 초승달에 대해 물으면 그것은 인류와 성지 순례를 위하여 고정된 시간을 일러주는 표시라고 말할지어다.’ 이슬람 성월인 ‘라마단’이 초승달이 뜨는 시기에 시작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슬람 국가들의 국기에도 초승달이 담긴 곳이 적지 않다. 터키, 파키스탄, 튀니지, 투르크메니스탄, 북 키프로스, 아제르바이잔, 몰디브 등의 국기에는 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