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며> 미복잠행 한번 해보시죠, 대통령님! 2005-08-01 기자가 사는 곳은 지하철 역에서 내려 재래시장과 서민상가가 빼곡히 들어찬 길을 지나야 하는 아파트 단지다. 얼마 전까지 열린우리당 의장을 지낸 분의 지역구에 속하기도 한다. 그만큼 현 정부에 우호적이던 주민이 많이 산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서울 변두리에 자리한 이 곳의 민심은 요즘 형언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납다. 지난 주말 이 곳 쉼터의 작은 화젯거리는 군 훈련소 중대장의 위장 훈련병 체험이었다. 태풍급 위력을 지닌 안기부 도청 X파일 사건에다 대통령의 느닷없는 연정 제의로 온통 뒤숭숭한 사회분위기 속에서 한줄기의 청량한 바람 같은 일화였기 때문인 듯하다.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누구나 군대 얘기만 나오면 한마디쯤은 거들어야지 뒷전에서 듣고만 있지 못하는 성정인 데다 최근 잦.. 더보기 <아침을 열며> 정치공학의 함정 2005-07-04 노무현 대통령이 싫어하는, 아니 최소한 좋아하지 않는 말 가운데 하나인 '정치공학'에 얽힌 조그만 일화가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있었다. 미국 남일리노이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모교인 연세대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주관중(朱冠中) 교수가 1960년대 후반 '정치공학'이라는 책을 냈다. 서점에 깔려있던 이 책은 어느 날 청와대 지시로 모두 회수되고 만다. 그 뒤 주교수는 대통령 정무비서관에 임명된다. 박전대통령이 능수능란한 정치공학(political manipulation)적 수완을 발휘하게 된 데는 주비서관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는 후일담이 전해 내려온다.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는 것을 의미하는 그의 정치공학은 정치의 기능을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연구하.. 더보기 <아침을 열며>"아마추어 국정" VS "관료주의 발호" 2005-06-06 천주교 신자인 데다 불교에 대한 이해가 일천했던 소설가 춘원 이광수가 법화경(法華經)을 번역하겠다며 발벗고 나섰다. 그러자 춘원의 사촌동생이자 역경사(譯經師)였던 운허(耘虛) 스님이 청담(淸潭) 스님에게 득달같이 달려갔다. 형의 번역작업을 만류해 달라는 것이었다. 춘원이 법화경을 소설가적인 식견으로 잘못 번역해 놓더라도 그의 명성 때문에 독자들이 옳다고 받아들이지 않을까 크게 염려해서다. 청담은 춘원을 찾아가 그가 지금 법화경을 번역해서는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면서 중단을 간곡히 요청했다. 한문 실력이라면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고 불교에 대한 공력도 나름대로 갖추었다고 자부하던 춘원은 물러설 줄 몰랐다. 춘원은 "그러면 1주일이든 2주일이든 결론이 날 때까지 토론하자"며 끈질기게 물고.. 더보기 이전 1 ··· 252 253 254 255 256 257 258 ··· 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