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삶] 동로마제국-‘반쪽 서양사’를 완성하다 입력 : 2007-04-20 16:10:42 ▲비잔티움 연대기…존 노리치|바다출판사 마치 반전을 거듭하는 드라마를 보는 듯한 진한 영상이 머릿속에 영롱하게 그려진다. 88명의 비잔티움 제국 황제, 그 주변에서 벌어지는 궁중 음모와 권력 암투, 암살과 쿠데타, 영웅과 여인, 장군과 악당, 전쟁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기기묘묘한 전략전술과 외교의 세계가 살아 꿈틀거리듯 펼쳐진다. 여기에다 비잔티움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성상(聖像) 논쟁, 헤시카슴과 동서교회 통합논쟁 등이 짜릿하게 곁들여진다. 비잔티움의 대명사인 화려하고 현란한 예술세계도 맛깔스럽게 버무려진다. 오스만투르크의 메메드 2세가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고 6년 뒤인 1459년 완공한 토프카피 궁전. 수려하면서도 호쾌한 필치는 ‘역사의 인디애나 존스’를.. 더보기 [여적] 외톨이 증후군 입력 : 2007-04-20 17:59:03 “방에 틀어박혀 있다가 당신이 온다는 얘기를 듣고 나왔다.” 한때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였던 일본 소설가 다키모토 다쓰히코가 지난해 난생 처음 해외여행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당시 한 독자가 재치있게 던진 첫 마디다. 다키모토는 히키코모리를 다룬 체험적 소설 ‘NHK에 어서 오세요’의 팬 사인회를 갖는 자리에서 동병상련의 독자를 만나 이런 말을 듣고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저명한 정신과 의사 사이토 다마키는 일본 인구의 1%인 130만명이 다키모토 작가가 겪은 히키코모리라고 추산한다. 대중적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숫자를 부풀렸다는 설도 없지 않으나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 것만은 분명하다. 히키코모리는 일본에서 6개월 이상 집에 틀어박.. 더보기 [책과 삶] “2035년. 한국이 세계 강대국 된다” 입력 : 2007-04-13 15:36:27 ▲미래의 물결…자크 아탈리|위즈덤하우스 “엉터리 예측에 목을 매느니 차라리 동전을 던져라.” 미국 경영컨설턴트 윌리엄 A 서든은 미래학자들에게 이처럼 저주를 퍼붓는다. 그는 미래학자들이야말로 동전을 던지는 것보다 못한 50% 이하의 적중률로 뭇 사람들의 눈을 멀게 하는 예언가들이라고 매섭게 몰아친다. 미래를 팔아먹고 사는 사람들이라면서 실명까지 들먹인다. 앨빈 토플러, 존 나이스비트 같은 세계적인 석학들도 그의 지적 살생부 예봉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래선지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고(故) 피터 드러커 같은 이는 미래에 대한 놀라운 혜안을 지닌 미래학자로 추앙받지만 ‘미래예측’이란 낱말을 싫어했다. 그렇지 않아도 며칠 전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 더보기 이전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 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