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장관의 복장 입력 : 2009-03-06 17:55:43ㅣ수정 : 2009-03-06 17:57:23 옷차림에 관한 우화 한 토막. 어떤 나라의 현자(賢者)가 누더기를 입고 읍내를 걸어가고 있었다. 그의 친구가 이를 발견하고 은근히 나무랐다. “옷이 그게 뭔가. 자네는 창피하지도 않나?” 그러자 현자가 말했다. “무슨 소리, 여기는 나를 아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으니 괜찮다네.” 다음날이었다. 현자는 자기 마을에서 역시 누더기를 입고 활보하고 있었다. 이를 본 친구가 참지 못하고 또 한 마디 해댔다. “뭐야, 자네 마을에서도 그런 옷차림으로 다니나?” 현자가 이번에는 이렇게 말했다. “여긴 누구든 나를 다 아니까 괜찮다네.” 옷차림은 대개 그 사람의 성격, 습관, 개성, 사회적 위상, 경제 상황을 웅변한다. 흔히들 .. 더보기 [여적]미국 실업자 500만 시대 입력 : 2009-02-27 17:55:09ㅣ수정 : 2009-02-27 17:55:12 사람은 일하기 위해서 창조되었다는 토머스 칼라일의 말처럼 노동은 생명이나 다름없다. 칼라일의 또 다른 명언은 공동체의 건강에도 일이 필수임을 입증한다. “노동은 인류를 괴롭히는 온갖 질병과 비참함에 대한 최고의 치료법이다.” 요즘 인터넷에서 나도는 블랙 유머 ‘청년 백수의 자기소개서’는 차라리 눈물이다. “독도 중계소 개설시 송신탑 들고 있겠음, 부식 수송 잘 안돼도 상관없음(KT), 갱도 붕괴시 구조 절대 사양, 보험금 회사 반납(지하철공사), 장시간 수중 작업시에도 산소통 필요 없음, 라이터로 용접 가능(대우조선), 충돌 실험시 본인 직접 탑승 후 보고서 제출(현대·기아차), 타이어 공기 입으로 주입 가능, 불량.. 더보기 ‘아름다운 죽음’ 입력 : 2009-02-27 17:28:29ㅣ수정 : 2009-02-27 17:28:31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은 크고 작은 여운으로 남아 쉼 없이 물결친다. 유언 “고맙습니다. 사랑하세요.” 남은 이의 광명을 찾아준 각막 기증. 소박한 유택. 검박했던 일상의 잔영. 거목으로서의 삶 못지않게 생애의 가장 거룩한 순간인 죽음을 어떻게 맞이해야 하는가를 몸소 보여준 인간 김수환. 그는 아름다운 죽음에 관한 사색과 성찰의 장을 열었다. “사람의 죽음 가운데는 아홉 마리 소에서 털 하나를 뽑는 것과 같이 가벼운 죽음이 있는가 하면 태산보다 훨씬 더 무거운 죽음도 있다”고 한 사마천의 명언을 새삼 되새기게 한다.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죽음. 미국 작가 미치 앨봄의 의 주인공 모리는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더보기 이전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 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