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삶]빈곤에 맞선 분노, 서울서 만나다 입력 : 2009-05-01 17:40:10ㅣ수정 : 2009-05-01 17:40:11 ㆍ日 사회운동가가 목격한 ‘불안정계층의 실상과 절규’ 생생히 담아 성난 서울-미래를 잃어버린 젊은 세대에게 건네는 스무 살의 사회학 아마미야 카린, 우석훈 | 꾸리에 “만국의 프레카리아트여, 공모하라!” 이 구호를 들으면 누구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고 외친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을 먼저 연상할 것이다. 책장 한 구석에서 먼지를 뒤집어쓴 채 숨죽이고 있을 도발적인 선언의 ‘사촌’을 떠올리면 시대착오도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매도하기 십상일지도 모른다. 이 구호에 누구보다 목소리를 높이는 30대 중반의 일본 여성 아마미야 카린은 여간 특이한 인물이 아니다. 그는 스무살 때 펑크록 밴드를 결성해 보컬로.. 더보기 [책과 삶]꽉막힌 일상, 혁명이 필요해 아주 즐거운! 입력 : 2009-04-17 17:45:52ㅣ수정 : 2009-04-17 17:45:54 ▲혁명을 표절하라…트래피즈 컬렉티브 | 이후 당신이 지독한 보수 우파라면 이 책을 끝까지 읽어내기 쉽지 않을 것이다. 아니 이럴 수는 있겠다. ‘좌빨’들은 또 어떻게 ‘세상을 망쳐 놓으려 하는지’ 참을성 있게 독파해 보자. 어쨌거나 ‘불편한 진실’ 때문에 마음이 편치는 않을 듯하다. ‘촛불들’이 즐기는 행동양식도 적잖게 담겨 있어서다. 어떤 이는 ‘순진한 주장을 펴고 있네’라며 뜨악해 할 것 같기도 하다. 때로는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할 게다. 너무 급진적인 게 아닐까. 유토피아, 아니면 최소한 최선진국에서나 가능하지 현실성 있는 얘기야?라는 상념이 떠오를 때가 있을지도 모른다. 쓰고 엮은이들이 걱정하듯 어떤 대목은 .. 더보기 [여적]집착과 무관심 입력 : 2009-04-17 18:02:25ㅣ수정 : 2009-04-17 18:02:27 ‘무관심을 파는 커피숍.’ 미국에서 스타벅스가 성공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무관심’을 꼽는 흥미로운 분석이 있다. 커피를 건네준 뒤에는 고객을 완벽하게 무관심 속에 방치해 두는 전략이 손님을 끄는 요인의 하나라는 것이다. 물론 처음 고객을 맞이하고 주문대로 내줄 때까지는 최상의 친절과 정중함으로 대한다. 사람들은 시선을 적절하게 차단해주는 넓은 공간에서 책을 읽든, 글을 쓰든, 사색을 하든 혼자서도 여유롭게 즐길 수 있어서 스타벅스를 좋아한다. ‘친절한 무관심’을 산다고나 할까. 이런 경우를 제외하면 무관심만큼 무서운 것도 드물다. 상대방을 아프게 하는 가장 예의 바르고도 잔인한 방법이 무관심이라는 말에.. 더보기 이전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 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