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장 숭고한 복수… 용서 2009.11.20 17:36 “내 아들을 죽인 그 사람을 용서하라고요? 이해하라고요? 남의 일이라고 쉽게 말하지 마세요. 그건 가장 사치스러운 충고이니까.” 전도연이 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은 영화 에 나오는 신애의 절규는 감정을 공유할 수는 있어도 아픔을 대신 짊어지긴 어렵다는 걸 실감나게 보여준다. 기독교의 회개와 용서를 다루고 있는 이청준의 단편소설 나 이를 각색한 은 모두 우리가 용서하는 법을 배우고 스스로 성찰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귀감이다. 2006년 10월2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니켈마인스라는 작은 시골마을의 아미쉬 원룸 스쿨에 우유배달원이 침입해 수업 중이던 여학생들에게 총을 난사했다. 5명이 목숨을 잃고 5명은 중상을 입은 이 충격적인 사건은 미국 사회를 발칵 뒤집어놨.. 더보기
식물도 사람과 소통하는데… 2009.11.06 17:35 2002년 마흔아홉 살로 세상을 떠난 외팔 서양화가 채희철은 신비스러운 일화를 남겼다. 그의 화실에는 온갖 화분들로 가득했다. 주로 남들이 버린 걸 지극정성으로 살려놓은 것이다. 그는 온종일 나무와 꽃들에게 자상한 말과 음악을 들려주곤 했다. 퇴근할 때는 작별 인사말도 잊지 않았다. “모두들, 잘 자라! 밤새 무럭무럭 자라거라.” 하지만 그가 숨진 지 얼마 후 화분의 식물들이 무단히 모두 죽어버렸다고 한다. 남태평양 솔로몬제도의 어떤 마을 사람들은 나무가 너무 커서 도끼로도 베기 어려울 때 모두 그 나무 곁으로 모인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일제히 나무를 올려다보며 힘껏 고함을 지르기 시작한다. 한 달 동안 소리를 지르면 신기하게도 나무는 기력을 잃어 쓰러진다고 한다. 고함소.. 더보기
[여적] 부자들의 부유세 청원 한국 같은 풍토라면 약간은 의아해할 단체가 1997년 미국에서 만들어졌다. ‘책임지는 부자’(Responsible Wealth)란 이 단체는 척 콜린스 전 코닥 사장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콜린스는 변호사, 교수, 대기업 임원을 지낸 윌리엄 게이츠 시니어에게 공동회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해 흔쾌한 동의를 이끌어냈다. 빌 게이츠 전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의 아버지다. 콜린스는 “게이츠 시니어가 처음 상속세 폐지를 막아야 한다는 말을 건넸을 때 농담인 줄 알았다”며 놀라워했다. 게이츠 시니어는 상속세가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세금이라고 믿는 사람이다. 그는 “부자들이 계속 욕심을 부리면 미국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망한다. 부자를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부자가 계속 이어지도록 하자는 것”이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닌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