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정선의 ‘진경산수화’ 실제 경치와 닮지 않았다 입력 : 2010-06-04 17:47:33ㅣ수정 : 2010-06-05 01:11:15 ㆍ김홍도 ‘카메라 옵스쿠라’와 달리 실제 경치에 ‘선경’ 의미 부여 과장 ㆍ조선후기 지도의 회화풍에 큰 영향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이태호 | 생각의나무 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들이 듬성듬성 서 있는 성긴 숲 사이로 둥근 달이 소슬하게 떠 있다. 그 옆으로 개울물이 졸졸거리며 외려 적막감을 더해준다. 달밤이 주는 정취를 독특하게 담아낸 단원 김홍도의 ‘소림명월도’(疏林明月圖)는 시리도록 은은하다.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겸재 정선의 금강산 비경 ‘금강전도’(金剛全圖)와 비 온 뒤의 인왕산을 그린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역시 ‘진경산수화’의 진면목을 뽐낸다. 이렇듯 진경산수화는 성리학의 굴레와 중국.. 더보기
‘천안함’에는 없는 설득의 리더십 리더십에 대한 정의는 리더와 연구자의 숫자만큼이나 많다고 한다. 리더십에 관한 방법론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리더십에 관한 책이 세상에 넘쳐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리더십=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정의는 갈수록 복잡다단하고 온갖 갈등으로 가득한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인식의 차이를 줄이는 게 리더의 핵심 역량임을 강조한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일화 한 토막. 자녀와 제대로 된 대화가 한 번도 없었던 아버지가 있었다. 우연히 아버지 역할에 관한 책을 읽고 느낀 게 많았던 그는 그날 저녁 아들을 식탁에 불러 앉혔다. “야, 우리 이제부터 대화하자!” 당혹한 아들은 어쩔 줄 몰랐다. 한참동안 기다리던 아버지는 참다못해 한마디를 던졌다. “너, 요즘 몇 등 하냐?” 아버지는 인식의 차이를 극대화하는 미스커.. 더보기
[책과 삶]조선의 교수법·학원 자유는시대를 뛰어넘은 ‘문화유산’ 입력 : 2010-05-21 17:32:55ㅣ수정 : 2010-05-21 17:32:55 ㆍ한국 교육사의 원전 60년만에 재탄생 ㆍ민족·계급 관점 결합한 교육사관 눈길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이만규 | 살림터 항일 민족주의 교육자이자 국어학자 이만규(李萬珪·1888~1978)는 남한에서 오랫동안 잊혀진 인물이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불온한 위험인물로 취급받았다. 월북학자였기에 그럴 수밖에 없었다. 교육계 인사가 아니라면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조차 드문 것도 어쩌면 자연스러울지 모른다. 연배가 높은 이들 가운데는 교육자이자 서예가였던 이철경의 아버지가 이만규라면 ‘아! 그랬던가’할 수도 있을 게다. 이철경이 중진가수 서유석의 어머니이니 이만규가 서유석에겐 외할아버지다. 이만규는 고려·조선시대 교육을 ‘계급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