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 여러 얼굴 진실은 하나지만 나타날 땐 여러 얼굴을 지니곤 한다. 약간 화장하는 정도를 넘어 가면을 쓴 얼굴을 드러낼 때도 없지 않다. 보는 이의 입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불교 법화경은 이를 ‘일수사견’(一水四見)이라는 말로 가르친다. 같은 물을 두고 하늘에 사는 천인(天人)은 보석으로 장식된 연못으로 보고, 인간은 그냥 물로 보며, 아귀는 피고름으로 보고, 물고기는 자신의 보금자리로 여긴다는 뜻이다. 전설적인 일본 영화감독 구로사와 아키라의 걸작 ‘라쇼몽’(羅生門)도 똑같은 사건을 4개의 다른 시선으로 ‘진실의 여러 얼굴’을 보여준다. 1950년 흑백으로 처음 제작된 뒤 여러 나라에서 리메이크된 ‘라쇼몽’의 플롯은 단순하다. 사무라이가 말을 타고 아내와 함께 녹음이 우거진 숲속을 지나간다. 그늘에서 낮잠을 자.. 더보기 실종 신고! 미래와 창조를 찾습니다 실종 신고! 쌍둥이 미래와 창조. 법적 나이 8개월이 다 되어감. 실제론 더 일찍 태어나 나이에 비해 커 보임. 찾아주시는 분에게는 거액의 사례금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엄마가 돌보지 않는 사이에 누가 두 아이를 훔쳐 갔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돈을 요구하지 않는 걸 보면 유괴한 이가 몰래 키우려는 생각이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만 알 수 없습니다. 미래와 창조는 우리 집안의 소중한 희망입니다. 두 아이가 없으면 우리 가족은 살아갈 기력을 잃어버립니다. 사실 엄마는 두 아이를 우리 집을 포함해 가문 전체를 책임질 수 있는 기둥으로 키우겠다고 철석같이 약속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믿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이 엄마는 워낙 원칙과 신뢰의 표징이었으니까요. 하지만 엄마는 잃어버린 쌍둥이를 찾을 생각이 없는 .. 더보기 세상을 바꾼 책 이야기(23)--<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 카를 마르크스와 이름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유난히 오랫동안 수난을 겪고 있는 인물이 막스 베버다. 금서 목록작성이나 검문검색 때가 되면 웃지 못 할 소극(笑劇)의 무대에 영락없이 오르는 것이 막스 베버의 책이다. 군사독재정권 시절 대학 주변에서 검문검색을 하던 경찰은 막스 베버의 책을 들고 다니는 학생이 발견되면 무조건 압수하곤 했다. 마르크스를 부르던 이름 ‘맑스’와 베버의 ‘막스’를 구분하지 못했던 권력 때문에 일어난 책 수난은 1950년대나 21세기를 가리지 않는다. 아름다운재단 이사장을 지낸 박상증 원로목사가 1950년대 말 미국 유학을 마친 뒤 배를 타고 귀국 할 때의 일화다. 부산세관을 통관할 즈음 처음 뜯은 상자의 맨 위 책이 하필이면 영어로 쓴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 더보기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