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반지 대신 금수저, 돌잔치 선물 변화의 정치사회학 풍습은 세태를 비추는 거울이다.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아기 돌잔치 선물로는 금반지가 대세였다. 여기에는 아기가 건강하게 자라라는 소망과 음양오행의 지혜가 담겼다. 아이들은 발육 상태가 좋아 오장육부 가운데 간과 쓸개가 매우 강하다. 오행의 목(木) 기운이 넘친다는 의미다. 하지만 목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위장의 기능이 약화돼 모유조차 토하는 부작용이 생긴다. 금반지를 몸에 지니면 금(金) 기운으로 목 기운을 낮출 수 있다. 훗날 돈이 필요하면 요긴하게 쓰라는 다목적 의미도 내포됐다. 최근 들어 아기 돌잔치나 백일잔치 때 흔히 선물하는 금반지보다 금수저의 판매량이 많아졌다고 한다. 언론조차 주목하지 못한 세태변화다. 지난해 최고의 신조어로 꼽힌 ‘금수저·흙수저’가 낳은 상술의 산물인데다 배경을 캐 .. 더보기 세월호 참사 2주기와 대통령 심기 경호 ‘세월호’는 박근혜 정부의 기피단어 1호다. 대통령 앞에서는 ‘세’자도 꺼내지 않는 분위기다. 세월호를 떠올리는 말까지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게 정부 여당의 인사들이다. 권력기관이나 새누리당 간부들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관련된 일을 저지하면 엄청난 과업을 이룬 것처럼 청와대를 바라본다. 애국세력을 자처하는 관변단체들은 세월호 얘기만 나오면 벌떼처럼 나선다. 이런 형편이니 닷새 앞으로 다가온 세월호 참사 2주기는 유가족이나 단원고, 일부 뜻있는 시민들과 단체만 안타까운 마음으로 채비할 뿐이다. 임박한 4·13 총선에서 야당조차 형식적인 이슈로만 삼는 것 같다. 정부는 오는 16일 ‘제2회 국민안전의 날’ 행사를 ‘세월호 지우기’에 초점을 맞춘 듯하다. 이 행사는 국민안전처 장관과 해경·소방·행정 직.. 더보기 정치인과 부끄러움, 영화 ‘동주’ 애잔하게 폐부를 찌르는 영화 ‘동주’를 관류하는 단어는 ‘부끄러움’이다. 일제 강점기 일본 유학을 위해 어쩔 수없이 창씨개명한 윤동주 시인은 후쿠오카 감옥에서 죽음을 맞는 순간까지 부끄러움을 안고 산다. 식민지 지식인은 시로 세상을 바꿀 수 없음을 참담해 한다. 동주는 행동하지 않고 시를 써야 하는 자신에게 부끄러움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행동하는 지식인 고종사촌 송몽규는 동주에게 부끄러움의 대상이다. 하지만 청년 동주를 만난 시인 정지용은 이렇게 말한다. “부끄러움을 아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야. 부끄러움을 모르는 게 부끄러운 거지.” 그래서 영화는 부끄러움을 일깨워준 영혼의 거울로 승화한다. 사람이 금수(禽獸)와 다른 점의 하나는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지닌 것이라고 맹자가 일찍이 사단설(四端說)에서 가르.. 더보기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