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스크 칼럼> 물방개 정치론 2002-11-18 대선 국면에서 전개되는 정치인들의 이합집산은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의 '물방개 정치론'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정치가는 물방개와 같은 것이다. 시냇물의 흐름에 따라 어느 때는 동행하고 어느 때는 역행하다가 또 때가 오면 동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큰 강의 흐름에는 모두가 휩쓸려 간다. 오늘의 적은 내일의 우군이요, 크게 보면 천하이지만 작게 보면 국회 안의 의원, 불과 몇백 명 가운데 하나다. 정계에는 '절대'라는 것이 없다. 그런 여유를 가지고 상대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나카소네 전총리는 이 '물방개 정치론'을 후배정치인들에게 거의 예외없이 경구(警句)로 들려주었다. 자신의 자서전에도 빠뜨리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다같이 서구의 민주주의 정치체제와 가치에 바탕을.. 더보기
<데스크칼럼> 정치언어 살생부라도 만들자 2002-10-14 극단적으로 '정치=말'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면 한국의 정치개혁은 말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절감하는 요즘이다. 그렇잖아도 한국이 정치판에서 말이 가장 거친 나라 가운데 하나로 정평이 나 있지만 연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벌어지는 추태를 보면 마치 욕설 경연대회장 같다. 국민의 대표를 뽑는 기준이 쌍스런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다. 최근엔 대선을 앞두어선지 정당의 국회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원내총무들이 의원들의 발언을 자제시키기는커녕 한술 더 뜨는 경향까지 보인다.정치권에서는 국회 밖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어떻게 하면 말의 자극성을 높일까 궁리하는 데 여념이 없는 듯하다. 정당의 대변인들이 지금까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여러 차례 신사협정을 맺고 품격있.. 더보기
<데스크 칼럼> 부시의 '마니교 정치학' 2002-09-09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마니교 정치학'의 신봉자인 듯하다. 그는 어떤 사안이든 극도로 단순화하길 즐긴다. 우선 잘 알려진 대로 세계를 선과 악으로 명쾌하게 나눠 버리곤 한다. 테러와의 전쟁에 동참하거나 협력하는 나라는 '친구'이고 그렇지 않은 국가는 '적'으로 여긴다. 마니교도 세상이 대립하는 두 진영으로 이뤄지고 두 진영 사이의 싸움이 세계사를 규정한다고 믿는다. 두 진영은 바로 빛과 어둠, 착한 편과 악한 쪽이다.마니교 정치학을 탁월하게 개념화한 사람은 독일의 카를 슈미트였다. 그는 나치의 독재국가체제를 학문적으로 정당화한 덕분에 국가사회주의의 대표적인 법학자로 일컬어진다. 슈미트는 정치 본질이 친구와 적으로 구분하는 데 있다는 생각을 뇌리에서 결코 떨쳐 버리지 않았다. 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