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어떻게 독일 대중이 ‘히틀러 국민’이 돼갔나 입력 : 2008-04-04 17:34:38ㅣ수정 : 2008-04-04 17:35:55 ㆍ합창단·동호회 등 조직을 통한 국민의 ‘자발적 복종’과정 해부 ▲대중의 국민화…조지 L. 모스 | 소나무 “아돌프 히틀러 당신은 우리의 위대한 지도자이시니, 당신의 이름은 적들을 떨게 하나이다. 당신의 왕국에 임하옵시고, 당신의 뜻만이 이 땅 위에서 법칙이 되게 하소서. 우리로 하여금 날마다 당신의 음성을 듣게 하옵시며, 또한 우리의 삶을 투신하여 복종하길 원하옵는 당신. 지도자의 지위를 통해 우리에게 명령하소서. 구세주 히틀러여, 이를 언약하나이다.” ‘주기도문’을 본뜬 이 ‘히틀러를 위한 기도문’을 나치 지배하의 독일 국민들이 지극정성으로 외웠다는 사실은 놀랍기 그지없다. 광기어린 파시즘의 표상이 눈앞에 선연하.. 더보기
[여적]시 외우기 벌(罰) 입력 : 2008-04-04 17:50:41ㅣ수정 : 2008-04-04 17:51:59 조선시대 관리들은 지각과 결근이 잦았다. 1년에 쉬는 날도 기껏해야 보름에서 20일 정도에 불과했다. 당시엔 일요일이란 개념도 없었던 데다 격무에 시달리다 보니 근태(勤怠)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던 것 같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성종 13년(1482) 1월4일 왕이 결근하는 관리들에 관한 대책을 신하들과 의논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조정과 관의 일에 지장이 많아지자 신료들과 협의한 것이다. 김승경(金升卿)이 이렇게 아뢰었다. “국법에 해가 길 때는 묘시(오전 7시쯤)에 출근해 유시(오후 7시쯤)에 퇴근하고, 해가 짧을 때에는 진시(오전 9시쯤)에 출근해 신시(오후 5시쯤)에 퇴근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관리들을 조사해 보.. 더보기
일관된 평화를 갈구하다 입력 : 2008-04-04 17:12:14ㅣ수정 : 2008-04-04 17:13:31 평화는 무조건 다 좋은 것인가? 이 물음이 한없이 절절할 때가 있다. 힘 센 ‘갑’은 총칼을 휘둘러 목숨을 앗아가는 일이 다반사인데도 약한 ‘을’은 언제나 말로만 억울함을 호소해야 하는 경우엔 심리적 유혹이 다가오곤 한다.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나 미국 흑인 지도자 마틴 루터 킹 목사 같은 이는 죽는 순간까지 유혹을 뿌리쳤지만 장삼이사(張三李四)들에겐 쉬운 일이 아니다. 하긴 고대 로마의 정치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정의로운 전쟁보다 나쁜 평화를 더 좋아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다녔다. 키케로의 명언은 오늘날 평화주의자들이 가장 즐기는 말의 하나가 됐다. 노르웨이의 평화학 창시자 요한 갈퉁도 평화를 위해 무력과 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