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석양 음악 입력 : 2008-05-02 17:51:51ㅣ수정 : 2008-05-02 17:51:55 석양이 서쪽 하늘 아래로 뉘엿뉘엿 넘어가려는 순간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2악장이 은은하게 울려 퍼진다. 한없이 푸른 창공엔 희디흰 구름이 솜털처럼 떠다닌다. 광활하게 펼쳐진 대초원 한 가운데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노니는 야생 동물을 보면 평화롭기 그지없다.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을 서정적으로 그린 웅장한 대작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이런 장면을 보면 누구나 목가적인 사랑이 흐르는 아프리카 생활을 꿈꿔 볼 것이다. 아이작(메릴 스트리프)과 데니스(로버트 레드퍼드)처럼 여유로이 거니는 광경을 상상하면서. 모차르트가 유일하게 남긴 이 클라리넷 협주곡은 영화 속에서 자연의 장엄미와 유유자적한 정감을 한껏 부풀.. 더보기
인종의 우열은 없다 단지 환경이 다를 뿐 입력 : 2008-05-02 17:23:49ㅣ수정 : 2008-05-02 17:23:55 ‘전작주의’란 신조어를 만든 애서가 조희봉은 존경하지만 일면식도 없는 소설가 이윤기를 주례로 모실 정도였다. 조희봉은 이윤기 자신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저서와 번역서를 모두 읽고 소중히 보관하는 정성의 극치를 보여준다. 전작주의란 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모아 읽고, 그 의미를 해석해냄으로써 그 작가와 작품 세계를 온전히 자신의 세계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전작주의자의 꿈-어느 헌책수집가의 세상 건너는 법’(함께읽는책)이라는 저서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전작이란 어느 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 의미를 좀더 확장시켜 보면 그 작품들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다른 작품들까지도 포괄한다. .. 더보기
[여적]박경리 입력 : 2008-04-25 18:09:23ㅣ수정 : 2008-04-25 18:09:28 ‘주홍글씨’ ‘큰 바위 얼굴’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언젠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소설가가 되기로 한 까닭을 이렇게 썼다. “변호사가 되려고 생각해 보니 늘 누군가가 다투기를 바라야 하고, 의사가 되어 볼까 싶어도 다른 사람이 아프기만 기다려야 하니 사람이 할 짓이 아니네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소설이나 쓰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중국 작가 루쉰은 일본에서 의학을 공부하다가 고국으로 돌아간 뒤 신체의 병을 고치는 의사가 되는 것보다 중국인의 병든 정신을 고쳐 주는 일이 더 급하다는 걸 깨닫고 소설가가 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프랑스의 저명한 소설가 미셸 투르니에가 문학에 투신한 이유는 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