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의 순결 짓밟는 ‘뇌물’ 입력 : 2008-04-18 17:25:11ㅣ수정 : 2008-04-18 17:25:16 ‘20년간 80억냥 뇌물 갈취, 집 2000여채, 논밭 1억6000만평, 개인 금고 10곳, 전당포 10곳.’ 청나라 건륭제(乾隆帝) 때의 권신이자 뇌물수수의 지존이라 할 만한 ‘화신(和)’이 평생 동안 뇌물로 일군 재산 명세서다. ‘화신’의 수뢰 총액은 청나라 전체의 10년 세금을 능가하는 거액이다. 화신은 가히 ‘탐관오리의 화신’이다. 화신이 죽고 나자 가경제(嘉慶帝)가 배불리 먹고 살았다는 희화적인 얘기가 나돌 정도였다고 한다. 인민일보(人民日報)가 2006년 1월 발표한 지난 1000년 동안의 중국 부자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한 게 화신이다. 특유의 관시(關係)문화를 중시하는 중국에서는 지금도 뇌물이 경제의 발.. 더보기
[여적]서울의 몽마르트르 입력 : 2008-04-11 18:18:30ㅣ수정 : 2008-04-11 18:19:20 가난한 화가들의 영원한 정신적 고향. 파리 시내에 유일하게 포도밭이 남아있는 곳. 여전히 예술과 낭만이 숨쉬는 몽마르트르에서 이제 그 옛날의 정수(精髓)는 희석된 것 같다. 무명 화가들의 예술정신이 먼저 떠올라야 마땅한 몽마르트르는 장사꾼들로 소란하다. 바가지 요금과 소매치기를 조심하라는 여행 소개 팁이 빠지지 않는다. ‘거리의 화가들’은 테르트르 광장에 터를 잡고 있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관광객들을 따라다니며 흥정을 시도한다. 이곳에선 한국말로 “안녕하세요”를 외치지 않으면 화가 행세를 하기 힘들다는 과장 섞인 얘기도 나온다. 빈티 나는 화가들이 남의 집 앞에 배달된 우유를 훔쳐 먹어가며 그림을 그리던 시절의 정.. 더보기
기부, 희생 아닌 ‘창의적 이기주의’ 입력 : 2008-04-11 17:41:57ㅣ수정 : 2008-04-11 17:42:48 과부의 두 렙돈과 빈자일등(貧者一燈). 지난 주말 신분을 밝히길 거부한 60대 할머니가 아무런 연고도 없는 연세대에 찾아와 1억원을 장학금으로 내놓았다는 소식을 들으며 가장 먼저 떠오른 단상의 편린이다. 예수가 부자들의 많은 돈보다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헌금을 더 귀하게 여겼다는 마가복음의 ‘말씀’과 부자의 만 등보다 가난한 사람의 한 등이 낫다는 현우경(賢愚經)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의 ‘법언’은 맥을 같이 한다. 두 일화에 대해서는 다소 다른 해석도 있긴 하지만 가난한 이들의 작은 정성이 한결 값지다는 공통점은 분명하다. 엄밀하게 말하면 60대 할머니가 기부한 돈은 ‘과부의 두 렙돈’이나 ‘빈자일등’에 비유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