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통한 노동의 미래 신통한 대안도 없다 입력 : 2008-08-08 17:23:35ㅣ수정 : 2008-08-08 17:23:39 이솝 우화 ‘개미와 베짱이’의 현대판 버전들은 노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풍자한다. 개미가 여름 내내 땀을 흘리며 일하는 동안 노래만 부르던 베짱이가 겨울에 음반을 내고 콘서트도 열어 엄청난 돈을 벌었다는 개정판은 지식사회의 단면을 반영한다. 반면에 일을 많이 한 개미가 허리를 다쳐 입원했다는 풍유는 과로 방어와 휴식의 중요성을 파고든다. 노래만 부르던 베짱이가 겨울에도 개미를 찾아가 구걸하지 않고 국가의 복지수당으로 잘 먹고 잘 살았다는 끝맺음은 북유럽 노동자들과 비교할 때 등단하곤 한다. 이처럼 익살과 해학의 소재가 되는 노동은 기실 더없이 신성하게 다뤄지는 명제다. 피렌체의 성 안토니오가 남긴 잠언의 물결은 넓.. 더보기 [책과 삶]서양인이 꼬집은 ‘전후 일본’ 입력 : 2008-08-08 17:27:30ㅣ수정 : 2008-08-08 17:27:43 ▲일본의 재구성…패트릭 스미스 | 마티 “처음에 이 책을 집어들 때는 서양인이 일본에 관해 그저 그런 책을 또 한권 썼겠거니 했는데 막상 읽다보니, 이전부터 나도 모르게 생각은 하고 있었으되 미처 또렷하게 의식하지 못했던 부분을 짚어주는 게 아닌가.” 지은이가 한국 독자들에게 쓴 편지의 마지막 부분에 일본 독자가 남긴 말을 인용한 대목이 이 책의 개괄적인 인상을 함축적으로 담아내는 듯하다. ‘일본의 재구성’(원제 Japan: A Reinterpretation)은 10년 전 미국과 일본에서 동시 출간된 ‘전후 일본 개설서’이지만 대부분 그대로 받아들여도 좋을 만큼 탁견으로 교직됐다. 저자 패트릭 스미스는 1980년대 .. 더보기 [여적]이어도의 비극 입력 : 2008-08-08 18:00:41ㅣ수정 : 2008-08-08 18:00:44 시인 유안진에게 이상향 ‘이어도’(離於島)는 다의어(多義語)다. ‘두 눈 부릅뜬 돌하르방이/절대로 없다 해도 반드시 있는/사강의 고독과, 까뮈의 실존이, /바람의 목소리와 파도의 흰 비늘로 기다리고 있는 섬 이어도(以語島)는, /지도 없어서 없다고 할 뿐인, 그림으로써 더욱 현실적인 섬인, /그림으로써 더욱 목마른 섬인/고독한 실존으로 증명되는/고독한 언어가 귀뜸해주는/이어도(耳語島)를 찾아서 이어도(以語島)로 가자고/비린 내음 짠 바람이 머리채를 나꿔챈다.’ 시인 고은에게 이어도는 제주 어부의 핏속에 사무친 섬이다. ‘아무도 이어도에 간 일이 없다/그러나 누구인가 갔다 한다/가서는 영영 돌아오지 않았다 한다….’ .. 더보기 이전 1 ··· 196 197 198 199 200 201 202 ··· 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