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보름달의 정취 입력 : 2008-09-12 16:58:50ㅣ수정 : 2008-09-12 16:59:06 소설가 김동리만큼 보름달을 정감 있고 격조 높게 예찬하는 이도 드물 듯하다. 그는 수필 ‘보름달’에서 그믐달이나 초승달보다 보름달이 좋은 까닭을 조곤조곤 묘사한다. ‘새벽달보다는 초승달이 나에게는 한결 친할 수 있다.(중략) 그러나 그렇단들 초승달로 보름달을 겨룰 수 있으랴. 마침 어우러져 피어 있는 개나리, 복숭아, 벚꽃들이 아니라면, 그 연한 빛깔과 맑은 향기가 아니라면, 그 보드라운 숨결 같은 미풍이 아니라면, 초승달 혼자서야 무슨 그리 위력을 나타낼 수 있으랴.(중략) 보름달은 이와 달라 벚꽃, 살구꽃이 어우러진 봄밤이나, 녹음과 물로 덮인 여름밤이나, 만산에 수를 놓은 가을밤이나, 천지가 눈에 쌓인 겨울밤이.. 더보기
‘성숙한 종교’ 보고싶다 입력 : 2008-09-05 17:32:52ㅣ수정 : 2008-09-05 17:32:54 영국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는 종교의 본질을 ‘자기중심주의의 극복’이라고 규정했다. 어떤 종교가 참 종교냐 하는 잣대는 신도들을 이기적으로 만드느냐 희생적으로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고대 인도 아소카왕의 비문에 적힌 칙령 8호는 종교의 배타주의와 획일주의를 한층 구체적으로 경계한다. “누구나 자신의 종교만을 숭앙하고 다른 종교를 저주해서는 안 된다. 여러 가지 이유로 다른 종교도 존중해야 한다. 자신의 종교를 전파하면서 다른 종교에도 봉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누구나 자신의 종교에 무덤을 파는 것이며 다른 종교에 해를 끼치는 것이다. 다른 종교의 가르침이나 교의에도 귀를 기울이라.” 스위스 종교학자.. 더보기
[여적]라틴 아메리카 거장전 입력 : 2008-09-05 18:00:54ㅣ수정 : 2008-09-05 18:00:55 라틴 아메리카 예술사에서 아틀 박사(1875~1964)와 벽화를 빼놓고선 얘기하기 어렵다. 아틀 박사는 화가이지만 혁명가로서 열정은 더욱 뜨거웠다. 코즈모폴리턴적인 인물인 그는 때에 따라 다른 얼굴로 등장한다. 작가에다 화산학자로 이름을 드날렸고, 식도락가적인 요리사, 미술재료 발명가이기도 하다. 정치지도자로 평가받는가 하면 일간지 편집자로 일한 언론인이었으며, 쉴 줄 모르고 걷는 사람으로도 유명했다. 그는 멕시코 민족주의 예술운동인 ‘메히카니스모’와 벽화운동의 선구자로 첫 손가락에 꼽힌다. 그가 화산을 주로 그리면서 벽화운동의 이론적 틀을 세운 공적은 지대하다. 그가 그린 화산 그림에선 태곳적 자연과 인간의 상상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