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다음 세계 헤게모니를 장악할 곳은 동아시아? 입력 : 2009-01-02 17:41:50ㅣ수정 : 2009-01-02 17:41:52 ㆍ하지만 미국의 위기는 70년대 시작됐다 ▲장기 20세기…조반니 아리기 | 그린비 미국 진앙의 전세계적 금융위기는 자본주의 세계질서에서 미국 헤게모니의 필연적 쇠퇴를 의미하는가? 다수의 전문가들은 유보적인 입장에서 벗어나려 한다. 미국 쇠퇴론이나 몰락론은 대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금융위기와 이라크전쟁의 실패 같은 당면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더불어 세계체계론을 주도하는 조반니 아리기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미국의 세계 헤게모니 위기는 1970년대에 벌써 시작됐다고 맥을 짚는다. 한때의 우발적인 것이 아닌 구조적인 위기라는 견해다. 미국의 금융적 팽창이 이 때부터 본격화.. 더보기
[여적]불확실성 입력 : 2009-01-02 17:46:59ㅣ수정 : 2009-01-02 17:47:01 유럽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회학자들인 앤서니 기든스, 울리히 벡 같은 진보적 지식인들은 현대세계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불확실성’을 든다. 냉전 종식 이후 격변한 지구촌을 성찰하기 위해 설정한 개념이 불확실성이다. 기든스는 더 이상 주인으로서의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세계가 아니라 불확실성의 영역에 들어섰다고 본다. 예측불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위험의 악순환은 늘어났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를테면 ‘사고를 없애자’가 아니라 ‘사고를 줄이자’라는 표현밖에 쓸 수 없는 현상이 이를 방증한다. 벡은 불확실성을 통제하기 위해 더 많은 합리적 통제와 제도를 동원하지만 불확실성만 더욱 증대되는 것이 바로 위험사회라고 정의한다. .. 더보기
희망, 믿는 사람의 몫 입력 : 2009-01-02 17:33:03ㅣ수정 : 2009-01-02 17:33:05 아버지와 아들이 사막 여행을 떠났다. 사막은 불 같이 뜨거웠고 떠나기 전에 가지고 갔던 물마저 어느새 다 떨어졌다. 먼저 지쳐버린 아들이 아버지에게 투덜거렸다. “아버지, 목이 마르고 모래가 뜨거워 죽을 지경이에요.” 아버지는 아들을 다독거렸다. “얘야, 그렇지만 우리는 이 사막의 끝까지 가야하지 않겠니? 조금만 참아라. 이제 얼마 가지 않으면 사람이 사는 마을이 나올 거야.” 두 사람은 다시 걸었다. 그러다가 그들은 사막 가운데 덩그러니 놓여 있는 무덤 하나를 발견했다. 무덤을 보자 아들이 또 푸념을 늘어놨다. “아버지 저 무덤을 좀 보세요. 저 사람도 우리처럼 목이 마르고 지쳐서 마침내 죽고 말았어요. 우리도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