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타성에 젖어버린‘인권 감수성’ 깨우다 입력 : 2010-07-16 17:16:29ㅣ수정 : 2010-07-16 17:16:30 불편해도 괜찮아…김두식 | 창비 첩보 액션 드라마 에서 이병헌은 사랑이 무르익지 않았음에도 김태희에게 기습키스를 감행한다. 그러자 김태희는 따귀를 갈겨버린다. 하지만 곧바로 사랑에 빠진다. 일일시트콤 는 한술 더 뜬다. 희주라는 철없는 며느리가 시어머니의 따귀를 능청스레 때린다. 시청자들이 들고 일어났음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지난날엔 뺨을 때리는 게 주로 남자였지만 요즘은 정반대가 더 많다. 어떤 이들은 드라마 작가가 대부분 여성이어서 그럴 것이라는 진단을 내놓기도 한다. 김두식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드라마 속의 연인들이 사랑과 분노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따귀를 많이 때리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을 거라고 개탄한.. 더보기
나는 걷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걸어서 세계를 일주했다는 프랑스 생물학자 이브 파칼레의 걷기예찬은 문학이자 철학이기도 하다. “걷기, 그 속에는 인생이 들어 있고, 깨달음이 들어 있으며, 신과 조우할 수 있는 기회가 들어 있다. 걷기를 좋아하는 이에게는 현자의 지혜가 번득이고 그의 눈은 시적 통찰력으로 빛난다.” 그는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의 유명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를 빌려 “나는 걷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말도 남겼다. 그는 이란 책에 ‘인간의 지성이 걸음에서 잉태됐다’고 썼다. 하긴 석가모니, 예수, 무함마드(마호메트) 같은 성인들도 생전에 가장 부지런히 걷는 사람이었다. 예수는 고독하게 홀로 걸으며 신과 대화하고, 제자들과 함께 걸으면서 가르침을 전했다. 석가모니도 평생을 걸었다. 전해지는 법어의 절.. 더보기
좋은 전쟁도 나쁜 평화도 없다 20세기를 대표하는 정치철학자이자 자유주의자의 한 사람인 이사야 벌린은 레프 톨스토이의 걸작 를 독특한 시각으로 접근한다. 벌린은 톨스토이의 역사관을 이해하지 않고선 를 제대로 소화해 낼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톨스토이의 역사관을 설명하기 위해 ‘고슴도치와 여우’라는 고대 그리스 우화를 빌려온다. “여우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고슴도치는 큰 것 하나를 알고 있다.” 희랍 시인 아르킬로코스의 말이다. 벌린이 쓴 는 여기서 영감을 얻었다. 고슴도치형 인간은 모든 일을 하나의 핵심적 비전으로 조망하려는 비전형이다. 본질적인 것을 보고 나머지는 모두 무시하는 스타일이다. 고슴도치가 몸을 동그랗게 말아 가시뭉치가 되는 것과 비슷하다. 여우형 인간은 여러 가지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며 세상의 복잡한 면면들을 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