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새 정부의 작명 1998-01-14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많은 이름을 가진 사람은 김정희였다. 그가 스스로 지은 예명이나 호는 무려 503개나 된다. 귀양살이의 서러움이 담긴 노구가 있는가 하면 취흥이 도도할 때 문득 떠올린 취옹, 공자를 생각하면서 붙인 동국유생도 있다. 그가 가장 좋아한 것은 단연 우리 귀에 익은 추사였다.비록 김정희가 아니라도 이름에 대한 애착은 누구나 강렬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이름의 상징성을 너무 신비화하다 보면 「이름의 미신」이라는 것이 생겨나게 된다. 고대 로마인들이 이름 좋은 사람부터 전쟁터에 보낸 것도 미신 탓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아무런 전공이 없던 스키피오를 일약 지휘관으로 발탁한 것은 단지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라는 일화까지 전해지고 있다. 요즘 김대중 대통령당선자 진영이 .. 더보기 [여적] 장애인과 정치 1997-11-12 3년전 뉴욕의 관광명소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장애인 차별 빌딩」으로 낙인찍혀 미국사회의 화젯거리가 된 적이 있다. 미국 장애인권익보호협회가 법무부에 고발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 빌딩은 장애인 편의시설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1931년에 완공돼 시빗거리가 되지 않을 법도 하다. 하지만 예외를 인정할 수 없다는 연방정부의 판정이 나와 막대한 예산을 들여 100층이 넘는 빌딩의 개수공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우리나라에서라면 생각하기조차 어려운 일이 아닌가 싶다. 하기야 하버드대가 지난 9월 케네디 스쿨에 입학한 한국인 척추마비 학생을 위해 60년이 넘은 유서깊은 건물의 출입문을 뜯어고쳤다는 소식을 상기해보면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닌지도 모른다. 머지않아 세계 중심국이 되겠다고 어쭙잖.. 더보기 <정동칼럼> 대권실험의 비극 1997-10-25 매화 옆의 바위는 예스러워야 제격이다. 소나무 아래 바위는 거친 듯해야 제맛이 난다. 대나무 곁에 놓인 바위는 앙상한 것이라야 어울린다. 화분 안에 얹는 돌은 작고 정교해야 좋다. 중국 고사에 적실하게 묘사된 명장면이다. 이렇듯 삼라만상이 제자리에 있을 때라야 저절로 격조가 배어나게 마련이다. 아무리 우아하고 품격이 넘쳐나도 있을 자리가 아니면 어딘가 어색해 보인다. 하물며 대자연의 으뜸인 사람이야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적재적소라는 말이 생겨난 연유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올 대선정국을 관전하면서도 새삼 제자리의 소중함을 느끼게 된다. 낡아빠진 정치풍토에 한줄기의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를 모아온 이른바 영입지도자들이 보여주고 있는 한계성은 단지 본인들의 안쓰러움에 그.. 더보기 이전 1 ··· 280 281 282 283 284 285 286 ··· 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