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경’ 풀어 ‘생명’을 이야기 하다 입력 : 2008-02-22 16:42:21ㅣ수정 : 2008-02-22 16:42:26 일본의 인기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100년이 지나지 않은 책은 읽지 않는다고 했다던가. 예외 없이 실천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장구한 세월에 걸쳐 검증된 고전만 탐독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리라. 그렇다면 2500년 넘게 숙성된 노자(老子)의 ‘도덕경’은 무라카미의 마음을 얻고도 넘친다. 하지만 ‘도덕경’이야말로 주석과 해설이 올바르지 않으면 읽어내기 쉽지 않은 책이다. 게다가 ‘무위자연’에서 노니는 대범무쌍한 이야기여서 따분하리란 선입견이 지배하기 십상이다.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많은 주석서가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겠다. 중국에서만 1500권이 넘는 주석서가 쓰였다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다른 길을 따라 노자 곁으.. 더보기
[여적]숭례문 잔해 입력 : 2008-02-15 17:51:06ㅣ수정 : 2008-02-15 17:51:11 아프가니스탄이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바미안 석불’이 탈레반 군사정권에 의해 파괴된 직후 인근 주민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그 잔해를 한두개씩 주워갔다. 그러자 일부 관광객들도 기념품으로 삼겠다며 가방에 챙겨 넣었다. 아프가니스탄에 인접한 파키스탄 페샤와르에는 트럭 여러대분의 석불 파편이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문화재를 거래하는 상인들에게 매입 제의가 왔다는 소문까지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남태평양 조그만 섬나라인 팔라우공화국은 흔히들 문화재라고 여기지도 않는 하찮은 근세 유물조차 소중하게 보존하는 것으로 이름 나 있다. 이 섬나라는 일본이 태평양전쟁 동안 남긴 군 병영시설과 전투기 잔해 등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 더보기
우리 문화재 보듬은 ‘사랑과 혜안’ 입력 : 2008-02-15 17:08:30ㅣ수정 : 2008-02-15 17:08:33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훗날 하늘나라에 가서 혜곡 최순우 선생(1916∼84)을 뵙기가 어찌나 면괴스러울까. 600년 역사가 숯덩이로 변해버려 절통할 숭례문을 선생께 무슨 말로 고변할까. 선생을 ‘한국미의 대변인’이라고 더없이 숭앙하는 유청장이기에 닭똥 같은 눈물을 쏟아내며 석고대죄해도 소용이 없겠지만, 애써 눈길을 피하고 싶은 심사가 굴뚝같을 게다. 선생의 아름다운 저작집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학고재)의 보급판에서도 그를 한없는 존숭의 마음으로 기렸던 유청장이다. “나는 미술사를 전공한 이후 선생의 글에서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고백하건대 내가 한국 미술의 특질과 자존심에 대하여 주장한 바의 대부분은 선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