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 눈의 한국혼 헐버트 영미인들이 죽어서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힌다는 건 최고의 영예다. 그런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힌 걸 더 영광스럽게 여긴 미국인이 서울 마포구 합정동 양화진 외국인묘지에 잠들어 있는 호머 헐버트 박사(1863~1949)다.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고, 자신의 조국보다 한국을 위해 더 헌신했던 인물’로 불리는 까닭이 그의 묘비명에 오롯이 담겼다. ‘뼛속까지’ 한국을 사랑한 그는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자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이준 열사 등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로 참석하는가하면, 고종의 밀서를 지니고 미국 대통령 면담을 시도했다. 헐버트는 일제에 맞서다 사실상 추방당하고 말았지만, 3·1운동 이후 미국에서 한인 독립단체를 도우며 불꽃을 이어갔다. 그는 한국의 역사와 지리를 배.. 더보기
판검사 직급의 불편한 진실 사법시험 합격자가 발표되면 웬만한 대학교나 고등학교 교문에 경축 플래카드가 나부끼는 걸 아직도 어렵잖게 본다. 고향에선 그 옛날 과거에 급제한 것 마냥 펼침막을 내건다. 학교와 마을의 경사를 뽐내기 위해서다. 이름이 대학신문이나 동창회보에 실리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개중에는 사법연수원을 거쳐 판·검사로 임용될 성적으로 합격한 사람도 있지만, 다수의 합격자가 일자리 걱정부터 한지 오래다. 사법연수원 수료자들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판·검사로 임용되거나 로펌에 들어가지 못하면, 대기업의 상무나 부장급 대우를 받으며 당당하게 입사했다. 취업문이 좁아지면서 과장급으로 낮아지기 시작했고, 요즘엔 대리급으로 입사하는 경우도 흔하다. 아니, 일자리를 얻는 것만으로 감지덕지할 정도로 사정이 어려워진 게 .. 더보기
세상을 바꾼 책 이야기(4)--<여성의 권리 옹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여자란 머리카락은 길어도 사상은 짧은 동물이다.”(아르투르 쇼펜하우어) “여자는 깊이 있는 척하는 껍데기이다.”(프리드리히 니체) “여자가 위대한 업적을 이룬다면, 우리는 그녀를 어떤 남자보다 우러러볼 것이다. 왜냐하면 누구도 여자가 그런 업적을 이루리라 기대하지 않기 때문이다.”(쇠렌 키에르케고르) “여자는 죽고 나서 석 달 뒤에 철이 든다.”(라틴 아메리카 원주민 속담) “여자를 만든 것이 알라의 유일한 실수다.”(이슬람 속담) “여자와 북어는 사흘 걸러 때려야한다.”(한국 속담) “여자와 소인은 길들이기 힘들다.”(공자) 이처럼 여성에 대한 야박한 평가는 고금과 동서를 가리지 않는다. 이쯤 되면 중세 말기에 등장한 유럽 최초의 여성작가 크리스틴 드 피장이 한탄조로 던진 질문을 이해하고 남는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