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슬 컬쳐, 조용한 사직, 주52시간제 개편 김민재 한국 국가대표 축구선수는 민첩한 허슬 플레이(hustle play)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에게 ‘괴물 수비수’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재빠른 뒷공간 커버와 허슬 플레이 덕분이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김하성 선수도 경기 흐름을 바꾸는 허슬 플레이로 감독에게 "다른 선수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선수"라는 극찬을 받는다. 스포츠의 허슬 플레이가 일터에서는 열정적으로 일하는 ‘허슬 컬쳐’로 변주된다. 개인 생활보다 회사 업무를 중시하고 열심히 일하는 생활양식과 이를 높이 사는 문화다. 이는 한국에서도 50대 이후 세대의 성공한 직장인들에게서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이다. ‘일벌레’나 ‘워커홀릭’(일중독)으로 불리는 사람들의 전형이 그것이다. 허슬 컬쳐는 원래 현.. 더보기 ‘선택적 정직’이 낳는 지도자의 위기 네덜란드 국민화가 렘브란트 반 레인은 남달리 자화상을 많이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캔버스에 그린 것만 50~60점, 종이 판화 데생까지 더하면 100여점에 달한다. 렘브란트의 자화상은 숫자나 작품성보다 정직성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는다. ‘자화상의 교과서’로 불리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사실 그의 외모는 잘생긴 게 아니다. 렘브란트가 20대 때 그린 ‘황금 고리줄을 두른 자화상’에는 젊음의 패기와 자신감이 넘쳐난다. 이와 달리 말년의 자화상들은 초라한 노인의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모든 것을 잃고 희망마저 포기한 듯한 얼굴은 안쓰럽다. 한 미술평론가는 렘브란트가 쉰네 살 때 그린 ‘이젤 앞에서의 자화상’을 보고 ‘무자비할 정도로 너무나 무정한 기록’이라고 평했다. ‘예술은 거짓이다’라고 했던 철.. 더보기 ‘미래’ 간판 걸고 ‘과거’ 상품 파는 새 정권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금언은 예수가 처음 한 말이어서 한결 무게가 실린다. 이 잠언에는 과학이 담겼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포도주를 양의 가죽으로 만든 부대에 담았다. 이때 낡은 부대에 새 포도주를 오래 담아 두면 발효과정에서 독한 가스가 생겨나 부대가 터져버린다. 오래된 가죽부대 안에 당분이 묻어 가죽이 딱딱해지기 때문이다. 새 가죽부대는 포도주가 발효하는 만큼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 좋은 술이 만들어진다. ‘새 부대’는 흔히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 인물과 정신을 상징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나라의 미래를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고 다짐하곤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국무회의에서도 "나라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청년들과 함께 만든다는 각오로 소통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런 약속과..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