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톺아보기-칼럼

개구리와 6070 정치

 사람들은 곧잘 애꿎은 개구리를 비판의 도구로 삼는다. ‘냄비 속의 개구리’라는 그럴듯한 예화가 대표적이다. 개구리를 뜨거운 물이 담긴 냄비에 넣으면 금방 뛰쳐나오지만 차가운 물이 담긴 냄비에 넣은 뒤 서서히 데우면 뜨거운 줄 모르고 그 안에서 죽고 만다는 얘기다.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과 조직을 비판할 때 비유하곤 한다.


 이 이야기는 전혀 사실이 아니지만 줄기차게 인용된다. 잘못 알려진 지식임에도 이를 모르는 사람들과 언론, 인터넷의 전파력이 낳은 부작용이다. ‘냄비 속의 개구리’ 일화는 19세기에 했던 한 과학자의 실험이 잘못 전해져 오늘날까지 내려온다. 그 후 수많은 실험 결과, 정상적인 개구리는 어느 정도 온도가 높아지면 냄비에서 뛰쳐나온다. 개구리가 뇌사 상태일 때만 뜨거워도 냄비에서 뛰쳐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서 ‘boiling frog’(끓는 물속의 개구리)란 표제어로 찾으면 자세히 알 수 있다.  

                                                     

 

 개구리의 약점은 사실 다른 데 있다. 개구리는 신체 구조상 움직이지 않는 먹잇감은 먹을 수 없다. 개구리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죽은 파리를 줄에 매달아 늘어뜨리면 먹지 않는다. 그럴 경우 파리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개구리는 다른 동물과 달리 눈동자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움직이는 사물만 인식한다.  


 개구리 예화가 오류임에도 사람들이 계속 들먹이는 건 그 속에 뭔가 진실이 담겨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인간도 조각상 같은 분장을 하고 거리에 꼼짝하지 않고 서 있는 사람의 움직임을 알아차릴 수 없다. 식물이 자라는 과정도 눈으로 볼 수 없다. 이처럼 인간은 느린 변화에 잘 대처하지 못한다. 


 ‘지식의 반감기’란 책을 쓴 새뮤얼 아브스만 박사는 어떤 지식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 후에도 낡은 지식에 매달리는 경향을 ‘지식의 관성’이라고 명명했다. 아브스만은 여기에 더해 나이가 들수록 지식을 소화하는 능력마저 떨어진다고 경고한다. 이는 쉼 없는 재충전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이 바뀐 지 25년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그렇읍니다’ ‘했읍니다’로 쓰는 노년층이 넘쳐나는 걸 보면 알만하다. 그것도 사회지도층으로 불리는 정치인, 군 장성, 대기업 임원들까지 그렇다. 이들이 인터넷에 올리는 ‘종북·좌파·빨갱이’(종북좌빨) 비판 댓글의 상당수가 종결어미를 ‘~했읍니다’ ‘그렇읍니다’로 쓴다. 대통령(이명박)이 국립현충원 방명록에 ‘번영된 조국, 평화통일을 이루는데 모든 것을 받치겠읍니다’ ‘국민을 섬기며 선진 일류국가를 만드는데 온몸을 바치겠읍니다’라고 써 망신을 당했을 정도니 더 할 나위가 있겠는가. 


 여전히 ‘-읍니다’로 쓰는 이들은 거의 ‘수구꼴통’이란 달갑잖은 속어로 불리는 노년층이다. 이들은 제대로 한 일이 별로 없는 대통령에게 조언하고 비판하는 글을 쓰면 ‘종북좌빨들의 발목잡기’라고 낙인찍는다. 대통령과 여당은 그런 변화거부세대만 믿고 나라의 장래보다 권력게임에 더 열중한다. 작은 선거도 그렇게 해서 이기고, 그게 전체 민심이라며 낡은 방식을 밀어붙인다. 보수·진보 가릴 것 없이 모든 언론이 국정운영 스타일을 바꿔 국가의 미래를 먼저 생각하라고 끊임없이 주문해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 마무리만 해도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책으로 반듯한 나라를 만들기보다 유족과의 게임에서 이기려는 꼼수찾기에만 몰두하는 모습이 처연해 보인다. 1960~70년대의 새마을운동과 유신 수준에서 벗어나길 소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도 막무가내다. 정치와 사회혁신보다 권력기관을 지침을 내려 통치도구로 부리는 유혹에서도 헤어나지 못한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100여 년 전 나라를 잃었던 때 못지않게 불안하다고 하나같이 우려해도 낙관론으로 일관한다. 거대한 체스판을 볼 줄 아는 인재들로 새로운 진용 짜기를 갈망해도 반응이 없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최초의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의 말처럼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에 대한 믿음에 집착하는 바람에 세상이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보지 못하는 맹목’이 걱정스럽다.


                                                         이 글은 내일신문 칼럼에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