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톺아보기-칼럼

<데스크칼럼>'會昌 法難' 역사적 교훈

2001-04-18
당나라 시대는 중국 역사상 불교가 가장 흥륭한 시기로 꼽힌다. 건국 시조인 고조에서부터 대부분의 황제들이 끔찍이 여긴 불교가 사실상 국교나 다름없었다. 심지어 잔학무도한 여제 측천무후(▦天武后)까지 독실한 불교신자였으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국보'로 불린 현장법사(玄裝法師)도 당나라가 낳은 지존(至尊)같은 스님임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빛이 강렬하면 그림자도 그만큼 짙은 법일까. 무종 재위 시절 사상 유례없이 극렬한 불교탄압이 자행된 것은 당나라의 어두운 역사 편린으로 고스란히 전해져온다. 악명높은 '회창 법난'(會昌 法難)이 그것이다. 무종의 연호(年號)가 '회창'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무종의 폐불운동 때문에 전국에 걸쳐 4,600여 사찰이 파괴됐고 불교와 관련 있는 건축물은 40만여곳이나 파손됐다. 칙령으로 인해 환속한 승려만도 26만명에 이르렀다니 법난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가고 남는다.

'회창 법난'은 모든 종교탄압이 그렇듯이 당시 정치적 상황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무종이 도술을 편애한 탓도 있지만 정치세력으로 부상한 승려들은 황제와 신하들에게 두통거리로 떠올랐다. 게다가 사찰 경제의 지나친 팽창과 승려들의 음란한 생활은 백성들의 원성으로 부상했다. 불교세력과 정권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사건인 셈이다.

그로부터 1,200년 가까이 지난 지금, 이회창(李會昌) 한나라당 총재가 잇달아 겪고 있는 불교계와의 악연은 또다른 차원의 '회창 법난'인 듯하다. 공교롭게도 당나라 무종의 연호와 한문 이름까지 같은 이총재에게는 올 연초의 악몽이 지난주 재연됐다.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장 정대(正大) 스님의 발언을 놓고 민주당이 왜곡된 발표를 한 게 발단이었다. 민주당은 이회창 총재가 집권하면 희대의 보복정치가 난무할 것이라고 연초에 말했던 정대 스님이 최근 김중권(金重權) 민주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그 발언이 소신이었음을 재확인했다고 공표했다. 이에 이총재측이 즉각 반박하고, 정대 스님측이 "민주당의 발표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한 뒤에야 파문은 일단 봉합된 상태다. 하지만 정치권의 행태를 보면 이와 유사한 휴화산이 언제든지 다시 폭발할 개연성이 없지 않다. 가톨릭교도인 이총재가 지난 대선 때부터 이런저런 법난을 겪은 뒤 다음 대선을 위해 불교계에 들이는 공은 지극정성 같다고 정가에 정평이 나 있다. 그런 만큼 여당의 반작용도 만만찮다. 이총재와 불심을 갈라놓기 위해 기회 있을 때마다 흥글방망이를 놀고 있는 듯하다.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라는 방정식이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의 용렬한 인식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선이 1년반도 더 남은 시점에서 정치권이 종교계, 특히 불교계를 지나치게 의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 가운데 불교신도가 거의 없는 탓인지 불교에 대한 구애작전은 유난스럽다. 적어도 기피인물 명단에는 오르지 않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열흘 남짓 앞으로 다가온 '부처님 오신날'을 계기로 또다시 한바탕 홍역을 치르지 않으리라고 장담하기 어렵다.

그렇잖아도 정치권에서는 이름난 고승들이 차기 대권의 향방을 점쳐주고 있다는 설까지 파다하다. 저마다 다음 청와대 주인에 자신이 점지됐다는 입소문을 퍼뜨리는 낯익은 전략을 쓰고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돈다. 심지어 한물간 거물정치인들까지 여기에 가세해 특정종교 악용은 혹세무민(惑世誣民) 수준이나 다름없다. 어느 나라나 역사적으로 정치와 종교는 서로를 이용해 입지를 넓히려는 작용과 반작용으로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하지만 그게 위험수위를 넘으면 부메랑이 되어 자신에게 되돌아오지 말라는 법도 없다. 불교의 지나친 팽창이 법난을 불러왔고, 지나친 탄압의 주인공인 무종이 반작용으로 6년만에 갑작스런 죽음을 맞은 사례는 더없는 귀감이 되는 교훈이다. 정치와 종교는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서로가 사는 최선의 방법이다. 지역과 이념 마찰에다 다양한 종교가 저마다 일정수준의 힘을 가져 팽팽한 갈등의 소지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김학순 편집국 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