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餘滴)

[여적] 누드 논란

입력 : 2007-10-26 18:07:00

프랑스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장 보드리야르는 현대 문화의 외설성을 “눈에 띄는 것,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 필요 이상으로 눈에 띄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보드리야르에게 외설은 과도한 표현과 맞닿아 있다.

예술과 외설의 차이를 논할 때 흔히 은근한 매력을 강조하는지, 대놓고 다 보여주는지를 따지곤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신체가 반응하면 외설이고 정신이 반응하면 예술이라는 재담 섞인 분류법 역시 마찬가지다. 뻔하고 지겨울 정도가 된 예술과 외설의 한계 논란은 옷을 살짝 걸친 것은 예술과 외설의 중간지대에 자리한다는 말장난 같은 주장도 등장시켰다.

사실 누드와 나체, 알몸이라는 용어선택에 따라 어감도 달라진다. 예술성이 있는 것은 누드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나체나 알몸으로 인식될 때가 흔하다. 누드는 나체라는 뜻이었던 라틴어 nude에서 유래했지만,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예술적 의미가 곁들여진 미술용어로 바뀐 것이다. 누드는 호감을 표현하는 가르랑 말이지만 알몸이나 나체는 반감을 표현하는 으르렁 말로 받아들여진다.

이렇듯 서양에서는 알몸이나 나체(naked)와 누드를 구별해 쓰고 있으나 한국에선 여전히 누드는 알몸, 나체와 같거나 비슷한 이미지로 각인돼 있다. 누드는 조금이나마 고상한 잡지에, 알몸은 3류 잡지의 이미지가 있긴 하지만.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김주원 씨의 상반신 누드 사진을 둘러싸고 새삼 논란이 벌어진 것에서는 이런 이미지의 모호성과 발레계의 보수성이 동시에 읽힌다. 국립발레단이 고심 끝에 내규를 어긴 사실만 들어 김 씨에게 감봉이라는 중징계를 내린 것을 두고서는 융통성 부족이라고 아쉬워하는 눈길이 적지 않다. 문제의 사진이 예술이냐 외설이냐는 판단하지 않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에둘러가는 편법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김 씨의 처신을 극구 두둔할 필요는 없지만 무용계 일각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고 한다. 나라 밖에서는 사진에 관한한 예술과 외설의 경계는 허물어진지 오래다. 화가 구스타프 크림트에게는 예술이고 플레이 보이 발행인 휴 헤프너에게는 외설이라던 구분짓기까지 무너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표현의 자유와 예술행위를 빙자한 외설이 넘쳐나는 것도 식상하지만 예술이 결핍되면 외설이 만연한다는 고정관념도 그리 달갑지는 않다.

'여적(餘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 호돌이의 출가  (0) 2007.11.09
[여적]스포일러  (0) 2007.11.02
[여적] ‘神들의 여행’  (0) 2007.10.19
[여적] 외톨이 증후군  (0) 2007.04.20
[여적] 사과법  (0) 2007.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