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8-05-16 17:40:58ㅣ수정 : 2008-05-16 17:41:02
이명박 대통령에게 대선 과정에서는 ‘샐리의 법칙’이 작용하는 모습이었던 반면 당선된 뒤에는 ‘머피의 법칙’이 적용되는 듯하다고 누군가가 관찰했다. 한나라당 경선 때와 후보 시절에는 이 대통령에게 악재가 발생할 때마다 다른 큰 사건이 덮어주는 행운이 뒤따라 샐리의 법칙이 통하는 것 같았다.
반대로 이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서 인수위원회가 가동된 뒤부터는 하는 일마다 꼬여가는 형국이어서 머피의 법칙으로 바뀐 듯하다. 금방 기억해 낼 수 있는 것만 하더라도 영어몰입교육 논란, 청와대·내각 인사 파동, 대운하 논란, 혁신도시 논란, 박근혜 전 대표와의 갈등, 석유·곡물가격 폭등, 저성장 고물가, 쇠고기 파동에 이르기까지 끝 간 데를 모를 지경이니 그럴 만도 하다. 머피의 법칙은 항용 엎친 데 덮친 격, 설상가상의 불운으로 쓰이지만 원래는 ‘뭔가 잘못될 수 있는 일이라면 틀림없이 누군가 그 잘못을 저지르게 마련’이라는 뜻이다. 운 타령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오히려 최악이라고 해서 더 이상 나빠질 수 없는 일이란 없다는 ‘머피의 법칙에 대한 판디크의 추론’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지만 간단하게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일이라는 ‘메이어의 법칙’도 이 대통령에게 대입해볼 만하다. 복잡한 것을 단순화하는 게 해법이지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실용 1㎏이 이론 1t의 가치가 있다는 ‘부커의 법칙’을 이 대통령은 신봉한다. 뛰어난 판단력은 쓰라린 경험에서 생기지만 그 경험은 형편없는 판단력에서 생긴다는 ‘힉돈의 법칙’은 꼭 되새김직하다. 아무리 잘못된 것도 옳게 보일 수 있다는 ‘스콧의 제1법칙’에 현혹되어서는 꼬인 난제를 풀기 어렵다. 더 쉬운 방법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라는 ‘아일스의 법칙’과 생각하다가 지친 시점에서 결론이 나온다는 ‘매츠의 법칙’, 절호의 기회는 최악의 타이밍에 찾아온다는 ‘더카르메의 법칙’은 위안으로 삼아도 나쁠 건 없을 게다.
조직이 무너지는 것은 3%의 반대자 때문이라는 교훈은 기억해 둘 만한 일이다. 또 한 가지. ‘정치적 비아그라’를 애써 구하려 하기보다 ‘정치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하는 것’임을 일깨워준 장자(莊子)를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사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지만 간단하게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일이라는 ‘메이어의 법칙’도 이 대통령에게 대입해볼 만하다. 복잡한 것을 단순화하는 게 해법이지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실용 1㎏이 이론 1t의 가치가 있다는 ‘부커의 법칙’을 이 대통령은 신봉한다. 뛰어난 판단력은 쓰라린 경험에서 생기지만 그 경험은 형편없는 판단력에서 생긴다는 ‘힉돈의 법칙’은 꼭 되새김직하다. 아무리 잘못된 것도 옳게 보일 수 있다는 ‘스콧의 제1법칙’에 현혹되어서는 꼬인 난제를 풀기 어렵다. 더 쉬운 방법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라는 ‘아일스의 법칙’과 생각하다가 지친 시점에서 결론이 나온다는 ‘매츠의 법칙’, 절호의 기회는 최악의 타이밍에 찾아온다는 ‘더카르메의 법칙’은 위안으로 삼아도 나쁠 건 없을 게다.
조직이 무너지는 것은 3%의 반대자 때문이라는 교훈은 기억해 둘 만한 일이다. 또 한 가지. ‘정치적 비아그라’를 애써 구하려 하기보다 ‘정치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하는 것’임을 일깨워준 장자(莊子)를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여적(餘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시간이 해결책’ (0) | 2008.05.30 |
---|---|
[여적]침묵의 카르텔 (2) | 2008.05.23 |
[여적]사바의 연꽃 (2) | 2008.05.09 |
[여적]석양 음악 (0) | 2008.05.02 |
[여적]박경리 (0) | 2008.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