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재에서

희망, 믿는 사람의 몫

입력 : 2009-01-02 17:33:03수정 : 2009-01-02 17:33:05

아버지와 아들이 사막 여행을 떠났다. 사막은 불 같이 뜨거웠고 떠나기 전에 가지고 갔던 물마저 어느새 다 떨어졌다. 먼저 지쳐버린 아들이 아버지에게 투덜거렸다. “아버지, 목이 마르고 모래가 뜨거워 죽을 지경이에요.” 아버지는 아들을 다독거렸다. “얘야, 그렇지만 우리는 이 사막의 끝까지 가야하지 않겠니? 조금만 참아라. 이제 얼마 가지 않으면 사람이 사는 마을이 나올 거야.”

두 사람은 다시 걸었다. 그러다가 그들은 사막 가운데 덩그러니 놓여 있는 무덤 하나를 발견했다. 무덤을 보자 아들이 또 푸념을 늘어놨다. “아버지 저 무덤을 좀 보세요. 저 사람도 우리처럼 목이 마르고 지쳐서 마침내 죽고 말았어요. 우리도 이제 곧 죽고 말게 될 거예요.” 그러자 아버지가 말했다. “얘야, 꼭 그렇게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무덤이 여기에 있다는 것은 멀지 않은 곳에 마을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란다. 그러니 우리는 이제 살았다고 생각하자꾸나.”

그래도 아들은 절망적이라는 듯 중얼거렸다. “그런 말씀 마세요. 여기 이 무덤을 보았으면서 어떻게 우리가 죽지 않을 것이라는 겁니까. 분명 우리는 죽고 말 것이에요.” 그렇지만 이들 부자는 계속 걸었다. 아버지의 말처럼 얼마 가지 않아 마을이 나타났다. 그곳에서 그들은 충분한 휴식을 취한 뒤 여행을 계속 할 수 있었다.

절망과 희망의 이중주를 얘기할 때 등장하는 예화의 하나다. 희망, 그것은 지금보다 나아지리라는 믿음이다. 사실 너무 많이, 자주 들어서 때로는 아무런 느낌을 주지 않는 낱말이 희망이기도 하다.

중국의 문호 루쉰에게 희망은 길과 같은 것이었다. “희망이란 원래부터 있는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없는 것이라 보기도 어렵다. 그것은 땅 위의 길과 같다. 원래 지상에는 길이 없었다. 걷는 사람이 많아지면 길이 되는 것이다.” 형체가 없는 희망도 행운처럼 불쑥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길을 내듯이 마음의 문을 여는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이 아닐까.

동물행동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이 자서전의 제목을 <희망의 이유>(궁리)라고 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았을까 싶다. 그가 고등학교만 졸업한 뒤 비서로 일하다가 침팬지를 연구하러 아프리카 숲으로 가겠다고 하자 많은 사람들이 만류했다. 여자들은 절대 할 수 없는 일이라며. 하지만 구달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못할 일은 없다며 스스로 선택한 길을 흔들리지 않고 걸어갔다.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택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것이다.

유일한 응원자였던 어머니의 격려만 힘이 됐다. “네가 진실로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있다면 포기하지 말고 노력해서 기회를 잡아라.” 구달은 대학 교육을 받지 못한 지적 열등감도 끝내 극복해냈다. 과학계에서 비주류일 수밖에 없었던 구달의 연구성과를 인정한 영국 케임브리지대는 동물행동학 박사 학위를 수여하기에 이르렀다.

스스로 희망을 가꾸어낸 구달은 이제 인류에게 희망의 메신저로 나섰다. 그는 ‘희망의 이유’로 4가지를 들었다. 어떤 절망 속에서도 절대 포기하지 않는 인간의 의지, 젊은이들의 열정, 궁지에 몰렸을 때 해결법을 찾아내는 인간의 지적 능력, 자연의 놀라운 회복력.

“나는 정말 희망을 가지고 있다. 우리 후손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세계를 기대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나무들이 살아 있고 그 사이로 침팬지들이 노니는 세계, 푸른 하늘이 있고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는, 그리고 원주민들의 북소리가 주는 그런 세계 말이다.”

알리기에리 단테는 지옥의 입구에 이런 큰 글자가 새겨져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일체의 희망을 버려라.’ 아무런 희망이 없는 곳, 그곳은 오직 지옥뿐이 아니겠는가. 정녕 마지막일 것 같은 순간에도 새로운 희망은 움트는 법이다.

'서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주의 추동력 ‘다원주의’  (0) 2009.01.16
다시 읽는 세계최초 추리소설  (0) 2009.01.09
20대는 20㎞, 60대는 60㎞?  (0) 2008.12.26
오해받는 ‘처음처럼’  (0) 2008.12.19
‘베트남적 근대성’  (0) 200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