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8-11-07 18:03:27ㅣ수정 : 2008-11-07 18:03:30
1950년 일본 미야자키 현 동해안의 무인도 고지마에 일본원숭이가 집단서식하고 있었다. 교토대 영장류연구소 학자들은 이들에게 먹이를 주면서 길들이기에 성공했다. 먹이는 밭에서 자란 흙투성이 고구마였다. 어느 날부터 한 원숭이가 고구마를 강물에 씻어먹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원숭이들이 따라했다. 고구마가 흙이 씹히던 때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맛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무리의 반 수 이상이 씻어 먹기에 이르렀다.
원숭이들은 강물이 마르게 되자 바닷가에 나가 고구마를 씻어 짭짤한 맛까지 즐겼다. 이 같은 집단 행위는 놀랍게도 이곳에서 멀리 떨어진 다카자키 산에 서식하던 원숭이 무리에서도 관찰됐다. 두 곳의 원숭이들 간에는 어떠한 교류도 없었고, 노하우를 전해 준 원숭이도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 생물학자 이마니시 겐이치는 이 연구 결과에 따라 ‘공진화’(共進化)라는 획기적인 이론을 발표했다. 동물에게는 적자생존이나 생존경쟁의 다위니즘만 있는 게 아니라 협력관계도 존재하며, 개체의 진화가 아니라 함께 진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마니시는 이 공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백한마리째 원숭이>라는 책을 썼다. ‘백한마리째 원숭이’는 경계점을 찾기 위해 편의상 수치화한 것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 ‘첫 번째 원숭이’는 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존재다. ‘백한마리째 원숭이 현상’은 어떤 행위를 하는 개체 수가 일정량에 이르면 그 행동이 집단 내에만 국한되지 않고 거리나 공간을 넘어서까지 확산된다는 사회학 이론으로 자리잡았다.
버락 오바마가 사상 첫 흑인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은 백한마리째 원숭이 현상과 비교해도 좋을 듯하다. 첫 번째 원숭이 역할을 한 마틴 루터 킹 목사의 ‘꿈’이 오바마라는 ‘백한마리째 원숭이’를 탄생시킨 것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킹 목사가 1963년 노예해방 100주년을 맞아 포효하듯 토해낸 꿈은 ‘내 아이들이 피부색이 아닌 인격으로 평가받는 나라에서 사는 것’이었다. 킹 목사의 꿈은 시간이 흘러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흑인들의 피와 눈물로 일궈낸 것이어서 더욱 값지다. 양적 변화가 임계점에 이르면 질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법칙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본 생물학자 이마니시 겐이치는 이 연구 결과에 따라 ‘공진화’(共進化)라는 획기적인 이론을 발표했다. 동물에게는 적자생존이나 생존경쟁의 다위니즘만 있는 게 아니라 협력관계도 존재하며, 개체의 진화가 아니라 함께 진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마니시는 이 공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백한마리째 원숭이>라는 책을 썼다. ‘백한마리째 원숭이’는 경계점을 찾기 위해 편의상 수치화한 것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 ‘첫 번째 원숭이’는 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존재다. ‘백한마리째 원숭이 현상’은 어떤 행위를 하는 개체 수가 일정량에 이르면 그 행동이 집단 내에만 국한되지 않고 거리나 공간을 넘어서까지 확산된다는 사회학 이론으로 자리잡았다.
버락 오바마가 사상 첫 흑인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은 백한마리째 원숭이 현상과 비교해도 좋을 듯하다. 첫 번째 원숭이 역할을 한 마틴 루터 킹 목사의 ‘꿈’이 오바마라는 ‘백한마리째 원숭이’를 탄생시킨 것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킹 목사가 1963년 노예해방 100주년을 맞아 포효하듯 토해낸 꿈은 ‘내 아이들이 피부색이 아닌 인격으로 평가받는 나라에서 사는 것’이었다. 킹 목사의 꿈은 시간이 흘러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흑인들의 피와 눈물로 일궈낸 것이어서 더욱 값지다. 양적 변화가 임계점에 이르면 질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법칙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여적(餘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레인메이커 (1) | 2008.11.21 |
---|---|
[여적]사냥개 논쟁 (0) | 2008.11.14 |
[여적]청와대 도서목록 (0) | 2008.10.31 |
[여적]탐욕의 굴레 (0) | 2008.10.24 |
[여적]증권가의 붉은 넥타이 (1) | 2008.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