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餘滴)
[여적]올림픽 요리
김학순
2008. 7. 18. 00:23
입력 : 2008-07-18 18:00:01ㅣ수정 : 2008-07-18 18:00:02
“중국이 오랫동안 과학기술이 발전하지 못한 것은 요리에 모든 정력을 바쳤기 때문이다.” 중국 대표작가의 한 사람인 왕멍(王蒙)이 지난해 고려대에서 특별 강연을 했을 때 들었던 흥미로운 대목 가운데 하나다. 왕멍의 얘기는 사실 유명한 린위탕(林語堂)의 풍자를 인용한 것이다.
왕멍이 한 독일인에게 이 말을 들려주었더니 이런 해학(諧謔)이 돌아왔다고 한다. “독일은 과학기술이 너무 발전해 요리가 발달하지 않았다.” 실제로 독일은 자신들이 자랑스럽게 내세울 만한 특화 요리가 별로 없다고 해도 섭섭하지 않을 것 같다. 그 때문인지 독일에선 요리에 관한 유머를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전통 있는 세계요리올림픽대회가 1900년부터 4년마다 독일 에르푸르트에서 열리고 있는 것에 비춰 보면 역설적이다.
중국의 요리문화는 린위탕의 또 다른 말과 맥이 닿는다. “우리 중국 사람은 물고기를 보면 잡아먹을 생각부터 먼저 한다. 서양인은 그것의 발생, 생태를 알고 싶어 하는데 말이지.” 중국에선 예부터 과부를 중매하면서 “예쁘냐”고 묻기보다 “요리를 잘 하느냐”고 먼저 확인하는 관례도 마찬가지다.
중국인들의 음식문화는 ‘사람은 먹는 것을 하늘과 같이 여긴다(以食爲天)’라는 한서(漢書)의 한 마디로 끝난다. 중국인은 의식주행(衣食住行) 4대 현안 중에서 옷은 남루해도 별로 상관없고, 집은 좀 옹색해도 문제가 없으며, 도로는 진창이어도 무관하지만, 먹는 것은 절대로 적당히 넘어가지 않는다는 말이 거저 나온 게 아닌 듯하다.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각국 정상들과 선수, 관광객들을 위한 ‘올림픽 요리’도 중국의 전략 종목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잖아도 세계적인 게 중국 요리이지만 호텔과 음식점들은 올림픽 특별 메뉴까지 선보일 계획이라는 소식이다. 이름 난 음식점 메뉴판에는 ‘야구 옥수수순’ ‘투창 죽순’ ‘원반 표고버섯’ ‘탁구 오리 간 소스’ ‘테니스 샐러드’ ‘쇼트트랙’ 등 올림픽 경기종목 이름이 들어간 희귀·특이 요리까지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인은 우주를 먹는다”고 했던 린위탕의 명언이 허풍이 아님을 증명하려는 듯이. 베이징 올림픽은 이래저래 강대국 중국에 국력 과시의 무대가 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중국의 요리문화는 린위탕의 또 다른 말과 맥이 닿는다. “우리 중국 사람은 물고기를 보면 잡아먹을 생각부터 먼저 한다. 서양인은 그것의 발생, 생태를 알고 싶어 하는데 말이지.” 중국에선 예부터 과부를 중매하면서 “예쁘냐”고 묻기보다 “요리를 잘 하느냐”고 먼저 확인하는 관례도 마찬가지다.
중국인들의 음식문화는 ‘사람은 먹는 것을 하늘과 같이 여긴다(以食爲天)’라는 한서(漢書)의 한 마디로 끝난다. 중국인은 의식주행(衣食住行) 4대 현안 중에서 옷은 남루해도 별로 상관없고, 집은 좀 옹색해도 문제가 없으며, 도로는 진창이어도 무관하지만, 먹는 것은 절대로 적당히 넘어가지 않는다는 말이 거저 나온 게 아닌 듯하다.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각국 정상들과 선수, 관광객들을 위한 ‘올림픽 요리’도 중국의 전략 종목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잖아도 세계적인 게 중국 요리이지만 호텔과 음식점들은 올림픽 특별 메뉴까지 선보일 계획이라는 소식이다. 이름 난 음식점 메뉴판에는 ‘야구 옥수수순’ ‘투창 죽순’ ‘원반 표고버섯’ ‘탁구 오리 간 소스’ ‘테니스 샐러드’ ‘쇼트트랙’ 등 올림픽 경기종목 이름이 들어간 희귀·특이 요리까지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인은 우주를 먹는다”고 했던 린위탕의 명언이 허풍이 아님을 증명하려는 듯이. 베이징 올림픽은 이래저래 강대국 중국에 국력 과시의 무대가 되고 있음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