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길 인생

외길 인생(1)-최완수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층 연구실의 시간은 80여 년 전에 정지돼 있는 듯 한 느낌을 준다. 대부분 1930년대에 지어졌던 그대로다. 이탈리아 대리석 계단이 그렇고, 타일 바닥, 커튼 장식도 의구하다. 게다가 낡은 탁자와 서가, 누렇게 변색한 고서가 빼곡히 들어찬 서재는 조선의 선비정신이 꿈틀거리는 듯하다. 다른 젊은 연구원들과 한 방에서 별 다를 게 없는 책상에 앉아 연구하는 최완수(崔完秀) 연구실장의 고아한 모습은 바로 옛 선비의 그것과 다를 바 없다. 방문객에게 직접 녹차를 끓여 따라주는 정성도 마찬가지다.

 

이 시대의 마지막 선비

 

 그는 학(鶴)같은 사람이다. 희다 못해 옅은 쪽빛을 띤 한복 두루마기 차림의 그를 보면 영락없이 학을 연상하게 된다. 단아하고 기품이 넘치는 학은 고고한 선비의 기상을 상징한다.
                                                           

                                                                <자료 사진>

 외양만 그런 게 아니다. 새해에 고희를 맞는 그의 결곡한 일생 역시 학과 다름없다. 한국의 미(美)를 찾아 외길을 걸어온 족적이 우선 그렇다. 결혼조차 잊고 수도승처럼 독신으로 꼿꼿하게 한국학 세계를 가꿔왔다. 그는 학문세계뿐 아니라 의식주를 포함한 모든 일상에서 ‘한국 것’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다. 서울대 사학과 재학시절부터 지금까지 한복을 고수해 오고 있다. 차(茶)도 늘 녹차만 마신다. 그래서 그의 연구실은 언제나 박래품 커피향이 아닌 토속 다향이 그윽하다. 대학 강의실에서는 서양 말을 쓴 적이 없다. 고집으로 뭉친 이 시대의 마지막 선비 같다. 자고 일어나는 것도 옛 선비들과 닮았다. 어김없이 오후 9시 전후에 자고, 오전 4시 전후에 일어난다. 그에겐 무리 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이란 말이 썩 잘 어울린다.

 

연구 중심 박물관의 전통

 

 서울 성북동에 자리한 간송미술관은 한국 전통미술품을 주로 소장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 이 미술관은 전설적 문화재 수집가이자 ‘한국의 국보와 혼을 지킨 수문장’ 전형필(全鎣·1906~1962)이 세운 것이다. 간송은 전형필의 호다. 전형필은 ‘한국의 미를 지킨 대수장가’, ‘한국문화의 지킴이’ 같은 어떤 수식어로도 모자랄 만큼 위대하다. 이탈리아 피렌체의 우피치미술관이 있게 한 메디치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로렌조 데 메디치에 견주면 지나칠까. 최 실장은 간송을 한마디로 ‘한국 문화재의 수호신’이라 명명한다.

 간송미술관이 실질적으로 출범한 것은 1966년 최 실장이 이곳에 오면서부터라고 해도 결코 무리가 아니다. 간송이 수집한 문화재를 정리하고 연구하기 위해 최 실장이 한국민족미술연구소를 세우고 간송미술관을 그 부속기관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는 선배 미술사학자인 고 최순우(崔淳雨) 국립중앙박물관장의 권고로 간송미술관에 왔다. 여기엔 지금 서화(書畵)를 비롯해 자기(瓷器)·불상(佛像)·불구(佛具)·전적(典籍)·와당(瓦當)·전(塼·벽돌)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유물들이 소장돼 있다. 국보급 문화재만 10여 점이다.

 대부분의 박물관이 전시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이곳은 미술사 연구 산실로서의 역할을 주로 한다. 연구 중심의 박물관인 셈이다. 간송미술관이 매년 5월과 10월 단 두 차례만 전시를 하는 것도 이런 고집 때문이다. 1971년 ‘겸재 정선 서화전시회’를 시작으로 이 원칙을 한 번도 어기지 않았다. 어느덧 간송미술관의 전시는 ‘도록을 반드시 살 것, 2시간 이상 기다림을 각오할 것’ 등의 관람 지침이 인터넷에 떠돌 만큼 국민적인 전시로 떠올랐다. 지난 가을의 ‘풍속인물’ 전도 전시장이 문 열기 전에 관람객의 줄이 정문 밖 큰길까지 이어질 만큼 화제를 모았다. 이 미술관의 공개되지 않은 소장품이 얼마나 되는지는 특급비밀이다. 수십 년간 같은 질문을 쏟아지지만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최 실장은 이렇게 단언한다. “간송이 없었다면 아마 오늘날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할 방법이 없었을 것입니다. 간송은 값진 서화를 그저 닥치는 대로 모은 게 아니었습니다. 우리 미술이 조선 후기에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창적으로 부흥했던 사실을 제대로 알고, 훗날 학자들이 그 시기를 다시 연구해 민족의 자부심을 살려주기를 바라면서 수집한 것 같습니다. 그 시기 핵심 작가인 겸재 정선(謙齋 鄭敾),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단원 김홍도(단원(檀園 金弘道),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모았던 것을 보면 그렇습니다. 특히 간송 소장품이 없었으면 우리나라에서 겸재와 추사 연구가 불가능했을 겁니다.”

  최 실장은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에서만 46년간 한국미술사를 천착하고 있다. 대학을 졸업한 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년 일한 것을 빼면 평생을 한 곳에서 일하는 셈이다.


  “문화적 자존심 때문입니다. 간송을 지키지 못하면 한국의 문화적 자존심을 포기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미술사 연구를 통해 분명하게 살려내야겠다는 생각에서 이 자리를 지키고 있지요.”

 

조선 서화 연구

 

 그는 조선 서화 연구에서 독보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겸재와 추사 연구의 최고 권위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971년 간송미술관 첫 전시로 ‘겸재전’을 마련하면서 겸재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간송과 겸재의 만남이 숙명이었듯, 나와 겸재의 만남도 숙명이었습니다.”

  하필이면 겸재였을까. 조선에는 그가 아니어도 김홍도, 신윤복, 안견(安堅), 장승업(張承業)같은 천재적인 화가들이 즐비했지 않은가. “일제 식민사관의 영향으로 한국 역사학계에도 조선 왕조를 문화적 정체기로 보는 부정적 시각이 많았습니다. 이걸 뒤집고 제자리에 돌려놓기 위해서는 겸재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연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선 전반기 250년은 중국을 닮기 위해 발버둥치는 시기였지만 인조반정 이후 후반기에는 조선만의 성리학이 꽃을 피웠고, 이를 토대로 진경 시문학과 진경산수화가 나왔습니다. 겸재는 국토의 아름다움과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고차원적인 회화미로 표출해낸, 가장 위대한 화가이자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지식인이지요.” 진경산수화는 종래 화가들의 화첩(畵帖)에 의한 상상적인 산수도를 벗어나 눈앞에 전개되는 한국 땅의 풍치를 마음에 드는 대로 화면에 옮기는 화법을 말한다.
                                                             

                                                           <자료 사진>

  이처럼 최 실장은 겸재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문화사를 ‘진경시대(眞景時代)’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정립한 학자다. 이를테면 ‘조선의 르네상스시대’를 재조명한 것이다. 겸재 연구의 집대성이 <겸재 정선>(전3권 2009)이다.

  그의 또 다른 인물연구 성과물에는 추사 김정희가 들어 있다. “겸재가 한국의 화성(畵聖)이라면 추사는 한국의 서성(書聖)이지요.” 추사 연구 마무리는 그의 남은 숙제 가운데 하나다.

 

제자 연구집단의 배출

 

 흔히 그를 미술사학자로 부르지만 그의 학문적 경계는 넓디넓다. 불교와 역사, 미술과 건축, 시문과 서화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그의 박람강기(博覽强記)는 혀를 내두를 정도다.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전3권 2007) <명찰순례>(전3권 1994)가 표징하듯 한국 불교사의 탁월한 전문가이기도 하다. 한국 불교계에서는 <명찰순례>를 또 하나의 불교서적으로 보지 않고 완벽에 가까운 사적보존기로 평가한다. 그가 불상조각가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그의 다른 별칭은 ‘통유’(通儒)다. ‘통유’는 문·사·철(전통적인 인문학 분야인 ‘문학·역사·철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에 두루 능통하고 서화에 풍류까지 겸한 사람을 일컫는다. 어느 덧 한국학 전체로 전공분야의 지평이 넓어진 덕분이다. 분업화와 전문화로 말미암아 한 분야에만 정통할 수밖에 없는 학자를 ‘궁유’(窮儒)라고 부른다.

 그는 흔하디 흔한 박사나 석사 학위조차 없고, 대학에 몸담고 있지도 않지만 ‘간송학파’라는 제자연구집단을 배출한 것으로 이름 나 있다. 그를 중심으로 30여명 회원이 공부하는 모임이 그것이다. 스스로 찾아와 그의 밑에서 공부한 후학들이 만든 연구모임이어서 더욱 뜻 깊다. 그의 학문적 힘은 한학(漢學)에 있다. 고향인 충남 예산을 떠나 서울로 유학 온 그는 경복고교 시절, 한학과 보학(譜學)의 대가였던 백아 김창현((白牙 金彰顯) 선생을 만나 대학에 진학하기 전 이미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한학의 경지에 올랐다. 그의 고향은 추사 김정희의 생가 고택이 자리한 곳이기도 하다.

  그가 남은 목표를 이루자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추사 연구는 물론, 정선의 제자인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연구도 끝을 봐야 한다. 젊은 시절 해 놓은 조선왕릉 조사도 정리해야 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 왕릉에는 조선시대의 문화를 오롯이 표현한 모습들이 있습니다. 진경시대의 석인들이 아주 사실적으로 조각한 덕분에 시대적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척됐습니다. 거기엔 의궤가 담겨 있기도 하지요. 이게 완성되면 새롭게 쓰는 조선통사입니다.”

 조선성리학과 당쟁사를 정리해 필생의 역작으로 남기고 싶다는 포부도 간직하고 있다. 늙지 않은 노학자는 공자가 자신을 표현한 말씀 한마디로 마무리 말을 대신한다. “발분망식 낙이망우 부지노지 장지운이(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 將至云爾 배움을 좋아하여 알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면 밥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움으로 걱정을 잊으며, 늙음이 닥쳐오고 있다는 것조차 잊을 정도다)”

                                          <이 글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발간하는 KOREANA 2012년 봄호에 실린 것입니다.>

Choi Wan-soo The Stalwart of Korean Art History

 

Kim Hak-soon 
 
  Everything in the research room on the second floor of the Center for Korean National Arts gives you an impression that time has stood still here for the past 80 years. Nearly everything remains intact since the museum’s construction in the 1930s, including the Italian marble staircase, tile flooring, and even curtain decorations. Moreover, the old tables and bookshelves, and a library filled with discolored books reveal that the vibrant spirit of long-ago scholars is still alive today. Indeed, Choi Wan-soo, chief curator of the museum, looked as dignified and refined as a Joseon scholar as he sat at his simple desk in the room he shares with junior-level curators and served me green tea.

 

A True Successor of Joseon Scholarly Ideals

  Choi is like a graceful crane__all the more so when wearing a traditional overcoat, so dazzling white it emits a pale blue aura. The crane, known for its elegant grace, symbolizes the scholar who pursues lofty ideals.
He resembles the crane not only in physical appearance, but also in the upright life he has led for more than 70 years. He has walked along a narrow path, seeking out the beauty of Korea. Never married, he has lived like a celibate monk while blazing his own trail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He has an extraordinary attachment to “things Korean,” ranging from academia to matters of everyday life. Since he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study history, he has always worn a traditional hanbok. And he drinks only green tea; hence the aroma of tea leaves in his office instead of coffee. Moreover, he refrains from using Western words or terminology in his lectures.

  Everything Choi says and does attests to a faithful embodiment of Joseon’s scholarly ideals. He keeps an early, regular routine just as Joseon scholars did, going to bed at nine in the evening and awaking at four in the morning. Nothing could describe him better than the old saying: “a crane standing amidst a flock of chickens.”

 

Research of Traditional Art

  The Kansong Art Museum, Korea’s first private art gallery, located in Seongbuk-dong in northern Seoul, houses an impressive collection of traditional Korean art and artifacts. It was founded by Jeon Hyeong-pil (Chun Hyung-pil, 1906-1962), also known by his pen name Kansong, a legendary art collector whose prominence elicits such praise as a “great protector of the beauty of Korea” or “defender of Korean culture.”
Jeon may be compared to Lorenzo de Medici who opened the golden age of the House of Medici,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Uffizi Gallery in Florence, Italy. Choi does not hesitate to call Jeon the “guardian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Yet, it can be said the Kansong Art Museum really came into being when Choi began working there in 1966, heeding the advice of Choi Soon-woo (1916-1984), an art historian and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order to properly preserve and research the artworks that Jeon had collected, Choi established the Center for Korean National Arts, of which the art museum is an affiliate organization. Today, the art museum houses an extensive collection of ceramics, Buddhist statues, temple artifacts, books, and decorative roof-tiles and bricks, as well as numerous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They include 10 state-designated National Treasures.

  Unlike most other galleries and museums, which emphasize the staging of exhibitions, the Kansong Art Museum’s main focus is on art history research. The museum offers only two exhibitions per year  in May and October. It has never deviated from this practice since 1971, when it hosted the “Gyeomjae Jeong Seon Painting and Calligraphy Exhibition.” Over time, Kansong’s exhibitions have become so popular that guidelines have been posted on the Internet for anyone thinking of stopping by, with advice like: “Buying an exhibition catalog is mandatory” and “Be prepared to wait in line for more than two hours before being admitted.”

 
  Nobody knows the exact extent of the museum’s collection. This is still “a top secret,” despite the countless people who have been asking the question for decades. “Had it not been for Kansong, it would probably not have been possible to substantiate the eminence of Korean culture. Kansong wasn’t simply a rich man who indiscriminately collected precious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Choi says. “He well understood how, in the latter years of the Joseon Dynasty, Korean art began to develop in an independent direction, free from the influence of China. It seems that he acquired artworks in the hope that scholars would study that period carefully and help to restore our cultural pride. This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he focused on collecting the works of that period’s premier artists, such as Jeong Seon (1676-1759), Kim Jeong-hui (1786-1856), Kim Hong-do (1745-after 1816), and Shin Yun-bok (circa 1758-after 1813). Especially,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o conduct meaningful research on Jeong Seon and Kim Jeong-hui without Kansong’s collection.”

  At this museum, Choi has immersed himself in the art history of Korea for the past 46 years. This means he has practically worked here throughout his entire career, aside from one year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ight after university graduation. Asked why he has worked at Kansong all this time, he answered, “Because of my pride in Korean culture. Failure to preserve the Kansong collection is tantamount to abandoning our cultural pride.” Choi believes this pride can be perpetuated through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Joseon Painting and Calligraphy

  Choi enjoys an unrivalled status among the art historians of Joseon painting and calligraphy. He is among the most authoritative scholars on Jeong Seon (style name Gyeomjae) and Kim Jeong-hui (style name Chusa), in particular. He began his research on Jeong Seon in 1971 while preparing for the museum’s first exhibition, which exclusively featured Jeong’s works. “Just as Kansong’s discovery of Gyeomjae’s art had been predestined, so was my own encounter with the artist,” he said. But why Gyeomjae, when there were other artistic geniuses of Joseon, such as Kim Hong-do, Shin Yun-bok, An Gyeon, and Jang Seung-eop (1843-1897)?

  “Due to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infus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historians came to have a negative perspective of the Joseon Dynasty as a period of cultural stagnation,” Choi notes. “I believed the only way to correct this wrong was to study Gyeomjae’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first 250 years of the dynasty, Joseon scholars sought to imitate Chinese art and culture. But in the latter part of the dynasty, starting right after the reign of King Injo (r. 1623-1649), Joseon’s own Neo-Confucian thought flourished. This academic background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poetry. Gyeomjae was not only Korea’s foremost painter at that time, who captured the country’s natural beauty in exquisite works of art, but also an intellectual who created new concepts by adapting the ol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refers to a free-styl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from firsthand observation, unlike the then conventional approach of painting imaginary landscapes based on picture albums. Choi came to define the cultural period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n an entirely new way ? as the “true-view landscape period” inspired by the renowned landscape painter Jeong Son. In doing so, he helped to shed new light on the “Joseon Renaissance.” His research has been compiled into three volumes entitled “Gyeomjae Jeong Seon” (2009). Choi has since turned his attention to another Joseon master artist, Kim Jeong-hui. “If Gyeom­jae was the genius painter of Korea, Chusa was the genius calligrapher,” he said.

New Crop of Scholars

  Choi is best known as an art historian, but in fact he freely crosses over a variety of disciplines. His knowledge of Buddhism and its history, art and architecture, poetry and prose, and painting and calligraphy is extraordinary. He is an acclaimed specialist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s can be seen in his books “In Search of the Origin of Buddhist Statues in Korea” (three volumes, 2007) and “A Pilgrimage to Famous Buddhist Temples” (three volumes, 1994). Korean Buddhists regard the latter as a near perfect reference resource on the conservation of ancient temples and monasteries. Less well known is the fact that he is also a sculptor of Buddhist images.

  Choi is referred to as tong-yu (“comprehensive scholar”), an honorific title bestowed upon those who are proficient in the classical humanitie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s well as in painting and calligraphy. Such scholars are men of style who know how to genuinely appreciate the arts. Choi has not earned a master’s or doctoral degree, nor is he a tenured university professor. But he is known for having nurtured a group of young researchers called the “Kansong School.” Some 30 ardent art lovers are currently studying under his guidance; they sought him out of their own accord to learn from his vast knowledge.

  Choi’s academic expertise can be traced to his study of the Chinese classics. He grew up in Ye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but attended Kyungbok High School in Seoul, where he learned Chinese classics and genealogy from Kim Chang-hyeon, a master of these fields. Choi had thus acquired an exceptional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even before he entered college. The Joseon scholar and calligrapher Kim Jeong-hui’s birthplace is also located in his hometown.

  However, Choi thinks he still has a long way to go to fulfill his remaining goals. He has to complete his research of Kim Jeong-hui and Sim Sa-jeong (1707-1769), a student of Jeong Seon, and wrap up a research project on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he began many years ago.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now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are enduring expressions of the culture of their era. We can clearly see distinctive changes over time thanks to the realistic tomb sculptures by stonemasons of the true-view landscape period. I’ve made much progress in this research project. I’ve also dug deep into the uigwe royal protocols related to court ceremonies. Once this work is finished, it will be a new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he said.

  Another of Choi’s goals is to documen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and factional str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blication of which would be his life’s masterpiece. Choi wrapped up the interview by quoting Confucius: “Why did you not say to him, ‘He is simply a man who in his eager pursuit of knowledge forgets his food, who in the joy of its attainment forgets his sorrows, and who does not perceive that old age is coming on?’”